노년기에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면 알츠하이머병
을 포함한 치매의 전조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과대학 노인병역학교수인 라우라 프라틸리오니 박사는 미
국의 의학전문지 '뇌졸중' 최신호(7월2일자)에 이같은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고 미
국의 의학뉴스 전문통신 헬스데이 뉴스 인터넷판이 1일 보도했다.
프라틸리오니 박사는 스톡홀름에 사는 75세 이상 노인 약 1천명을 대상으로 실
시한 조사 결과 수축기혈압(최고혈압)이 15포인트 떨어지면 치매 위험이 3배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프라틸리오니 박사는 조사 시작 때 이들의 혈압과 건강상태를 검사하고 3-6년
후 재검사한 결과 혈압이 약간 떨어진 사람은 치매 증세가 없고 크게 떨어진 사람은
치매에 걸렸으며 혈압이 떨어질수록 치매증세도 심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로 설명될 수 있지만 한 가지 가능성은 치매 환자의 뇌손상
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이 혈압도 떨어뜨린다는 것이라고 프라틸리오니 박사는 말했다.
프라틸리오니 박사는 혈압이 떨어지면 이미 시작된 치매에 이르는 과정이 촉진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하고 그 이유는 뇌에 혈액공급이 줄어들면 뇌세포 손상이
더 악화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혈압이 높은 환자와 의사가 모두 적극적으로 혈압을 떨어뜨리려다 보니 혈압
이 너무 떨어져 뇌세포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프라틸리오니 박사는 덧
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그렇지 않아도 복잡한 혈압과 치매 사이의 관계를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다. 앞서 발표된 일부 연구보고서들은 중년에 혈압이 높으면 노년에 치
매 위험이 높아진다고 밝히고 있다.(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