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들은 최근 한국 영화의 부진의 이유를 비슷한 장르의 영화가 많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영화전문지 필름2.0(www.film2.co.kr)이 포털사이트 다음(www.daum.net)과 함께 8-16일 두 회사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지난달 한국 영화 점유율이 30%대로 급락한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라는 질문을 던진 결과 응답자 2천735명 중 47.9%(1311명)가 '비슷한 장르의 영화가 많아서'라고 대답했다.
6월 한 달간 개봉한 한국 영화는 '나두야 간다', '아는 여자', '인어공주', '령' '페이스',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 등 모두 여섯 편. 실제로 '인어공주'를 제외하고는 다섯 편이 모두 코미디 혹은 공포물이었다.
한편 '한국 영화의 재미가 예전에 비해 덜하다'라고 답한 네티즌은 전체의 22.1%를 차지해 '할리우드 영화가 더 볼 만하다'(23.8%)라는 응답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