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를 탈출, 경북과 경남 지역을 공략하라". 주택사업 시행사로 불리는 부동산개발업체들은 요즘 서울을 비롯한 대구.부산 등 대도시에서 탈피, 중급도시로 눈을 돌리고 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대구.부산 등 대도시의 경우 주택 공급이 수요를 초과, 초기계약률이 저조해 자금의 조기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시행사들이 그래도 실수요자 위주로 주택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개발잠재력을 지닌 중급 도시를 누비고 있는 것.
경북의 경우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구미를 비롯한 포항, 경주 등이 이들 시행사들의 주 타깃이다.
경남의 경우는 도청소재지(창원)의 주택난으로 인해 인근 마산, 진주에서부터 진해까지 잠재 수요가 넓게 깔려있는 것으로 보고, 시행사들이 구석구석 찾아들고 있다.
심지어는 거제도에까지 서울은 물론 부산.대구의 시행사들이 몰려들고 있다는 게 한 시행사 대표의 얘기다.
이들 중급 도시의 경우 대도시 못지않는 경제기반이 구축돼 있는 데다 그동안 주택공급이 많지않아 실수요자 기반이 튼튼한 가운데서 분양권 전매가 가능한 등으로 투기세력까지 끌어모을 수 있어 집을 파는 데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시행사들은 삼복더위에도 아랑곳 않고 좋은 입지의 땅을 선점하기 위해 부지런히 발품을 팔고 있다.
이 같은 영향으로 이제 대구의 땅은 대다수 시행사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지주들이 너무 많은 땅값을 요구하고 있어 시장상황을 반영한 분양가로는 수익성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달서구에서 땅 매입에 나섰던 한 시행사는 지주들이 평당 350만원을 요구하는 바람에 사업포기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또 한 시행사는 죽전네거리 부근의 땅을 매입할 예정이었으나 지주들이 평당 400만원선을 요구하는 바람에 아파트 사업을 접었다.
시행사 한 관계자는 "대구 달서구 월성, 유천동의 경우 작년까지는 평당 350만원까지 해도 시행사들이 뒤질세라 달려들었지만 지금은 상황이 바뀌어 300만원에도 선뜻 사겠다는 쪽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시공비가 오를대로 오른 데다 땅값을 많이 줄 경우 분양을 못하고 망하는 꼴을 당하기 때문이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