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네티즌의 소리-고구려 역사지키기

대륙에서 웅대한 기상을 펼쳤던 고구려사를 눈뜨고 빼앗길 판이다.

중국은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까지 나서 고구려 역사를 빼앗기 위한 '동북공정(동북공정)'을 노골화하고 있다.

고구려사가 중국의 의도대로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고착되면 우리 역사는 반만년에서 2천년 정도로 반토막 난다.

고조선, 발해 등 한국의 대륙사는 모조리 중국사에 편입되고 역사 강역도 대동강 이남으로 제한된다.

중국은 1995년부터 학계를 중심으로 역사왜곡 작업을 시작했고, 최근 중국 외교부는 홈페이지의 한국사 소개 코너에서 고구려를 삭제했다가 우리 정부의 항의를 받자 아예 고대사를 몽땅 삭제했다.

사태가 심각하게 돌아가자 중국의 역사왜곡 야욕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정부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다.

소홀했던 역사교육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도 들린다.

다음(daum)미디어조사에서는 중국과의 마찰을 감수하더라도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류(74.7%)를 이뤘고 장기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신중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응답은 24.%로 나타났다.

인터넷 게시판에 오른 네티즌들의 고구려 역사 지키기 아이디어를 들어본다.

▨고구려 영화 만들자

문화적 접근으로 문제를 해결하자는 목소리가 가장 높았다.

한 네티즌은"철저하게 고증받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영화를 만들어 우리 국민은 물론 해외에서도 고구려사를 있는 그대로 이해시키자"(난몰라)고 제안했다, 'hokusai'라는 이는 "강재규 같은 유명감독이 '살수 대회전', '을지문덕 장군' 등의 제목으로 고구려 역사를 영화로 제작하자"며 "아시아에서 엄청난 한류열풍을 몰고 있는 배우를 출연시키면 더욱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고구려 관련 드라마를 만들자", "월드컵 때 붉은 티셔츠를 입었듯 고구려 티셔츠를 만들어 온 국민이 입고 다니자"는 의견도 올랐다.

▨학술연구로 대응을

학술연구를 통해 역사적 증거사료와 대응 논리를 만들 것을 주문하는 네티즌도 적지 않았다.

'오가피'는 "연구대상을 고구려뿐 아니라 부여, 고조선, 환웅시대, 환인시대까지 넓혀야 한다"며 광범위하고도 국가차원의 고대사 연구를 제안했다.

▨역사교육 강화로

역사학계에 대한 지원확대와 역사교육 강화를 주문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redwatch'는 "중국이 역사왜곡을 하고 있다는 명백한 자료는 많지만 문제는 돈"이라며 "중국은 역사학자들에게 엄청난 지원을 하는데, 우리는 지원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가을하늘'은 "지난 3월 학부모 총회 때 만난 사회과 교사 4명 가운데 역사를 전공한 교사가 한명도 없는 것은 역사교육의 부실"이라고 지적했다.

'배려'라는 네티즌은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역사교육이 죽은 지 오래됐는데 새삼 말할 필요가 있겠는가"라며 "유치원부터 역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유적 보존에 힘써야

'흠흠'이라는 네티즌은 남북한에 있는 고구려 유적과 유물에 대한 보존 대책을 촉구했다.

그는 "중국은 고구려 문화재에 많은 돈을 들여 관광상품까지 만드는데 정작 우리는 고구려 유적 관리에 너무 소홀하다"고 지적했다.

이춘수기자zapper@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