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의 각종 개혁 법안들이 위헌'인권침해 등의 소지가 있는 조항들로 가득하다는 건 자칫 개혁 그 자체를 퇴색시킬 우려가 짙다.
이는 여당이 '인권탄압의 악법'이라면서 국가보안법을 폐지하려는 그 명분과도 배치되는 '자기모순'이다.
실례로 과거사 기본법과 의문사 진상 규명법의 제'개정안 중 동행명령권 조항을 들 수 있다.
조사대상자가 동행명령을 거부하면 형사처벌하도록 규정한 건 처벌법도 아닌 진상규명법에 불과한 이 법의 근본취지에 위배된다.
그뿐 아니라 개정 형사소송법안 중 피의자는 검찰 조사단계부터 변호사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 방어권 강화 취지에도 크게 어긋나는 악법 조항이라 할 수 있다.
또 친일진상규명법 개정안에는 최종 조사보고서 작성 전이라도 친일행위자의 혐의를 공표할 수 있도록 하고 조사 내용 누출 때 처벌조항을 삭제한 건 개인의 명예나 인격권을 치명적으로 침해할 소지가 큰 것으로 지적받고 있다.
14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공직자 윤리법'은 사유재산권이나 직업 선택의 자유를 침해할 소지 역시 크다.
공직자 자신뿐 아니라 직계 존비속까지 갖고 있는 주식을 팔도록 강제한 건 아버지나 아들이 공직자가 되면 그 직계 존비속은 사업도 못하게 돼 있다.
이런 위헌'인권침해 등의 소지가 큰 법안은 설사 입법화 된다 해도 헌법 소원을 제기하면 결국 무효화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개혁입법이란 명분도 중요하지만 법을 만들 땐 최소한 그 법에 맹점이 없는지부터 먼저 검토하는 과정을 왜 간과했는지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개혁'이라면 모든 절차적 정당성마저 무시해도 좋다는 초헌법적 발상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그건 개혁이 아니라 혁명이다.
또 아무리 개혁의 명분이 중요해도 절차에 정당성이 결여되면 그 개혁도 정당성을 잃게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