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조동만 리스트'가 검찰에 의해 속속 밝혀지면서 의혹도 점차 커지고 있다. 우선 조동만 전(前) 한솔그룹 부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경우는 열린우리당의 김한길 의원 1억원, 김중권 전 청와대비서실장 4억원, 유종근 전 전북지사 2억원, 민주당 전 의원 모씨, 서울대 모 교수 8천만원 등으로 압축되고 있다.
이 대목에서 제기되는 의혹은 조 전 부회장이 무엇 때문에 주로 당시 여권 인물들에게 돈을 건넸으며 그 대상이 과연 이들밖에 없었겠느냐이다. 당시는 '국민의 정부' 시절로 여당인 민주당엔 핵심 실세들이 많았는데 이들이 로비 대상에서 빠졌다는 건 이치에 닿지 않는 얘기가 아니냐는 의혹이 당연히 제기된다.
또 김한길 의원은 2000년 3월 16대 민주당 총선기획단장으로 있으면서 평소 알고 지내던 조씨로부터 1억원을 받아 당일 여론조사비용으로 지불했다면서 국민들에게 사과를 했다. 그러나 당초 검찰은 조씨가 2001~2002년에 김 의원에게 돈을 건넸다는 진술을 받아냈다고 했었다. 돈을 수수한 시점이 2001년 이후라면 그땐 이미 16대 총선을 치른 뒤이기 때문에 김 의원의 해명은 전부 거짓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더욱이 당시 민주당 핵심 관계자들은 김 의원이 조씨로부터 돈 받은 사실을 당에 보고한 적도 없고, 들은 사람도 없으며, 여론조사를 두 군데 맡겼는데 모두 선금으로 지불했다면서 김 의원 개인 비리 차원의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돈 받은 시점과 양측 주장 중 어느 것이 맞는지도 검찰이 밝혀낼 핵심 내용이다.
수억원을 받은 국회의원들은 정치자금법 3년 시효를 지나쳐 무사하고, 농림부 차관의 경우 100만원을 받았는데도 옷을 벗게 되는 이 모순을 푸는 것도 검찰의 몫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