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세상일수록 더불어 함께 살아야지요. 부처의 자비를 실천하는 길이기도 하고요."
불교에서 중생 교화 방법 중 하나인 '동사섭'(同事攝·중생과 더불어 고락을 같이 하는 것)을 실천하고 있는 경산 천운사 유화(唯化) 스님.
유화 스님은 지난 89년 정신지체아 6명을, 97년 IMF때는 노숙자 40여명을 도량내에서 헌신적으로 돌봤다.
스님이 처음 이 일을 시작했을 때 지역주민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사회에서 버림받은 사람들을 거두기에는 너무 힘들고 자금도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그 이유. 그때 스님은 "모든 세상 이치가 인연에서 비롯되며 재미있으니까 한다"고 말했다.
한번은 병든 행려자를 인근 파출소에 데려가 병원에 입원시켜달라니까 왜 무허가로 하느냐는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
그때 스님은 "거지 밥 주는데도 허가를 내야 하냐"고 반문했다고.
이를 계기로 유화 스님은 2001년 비영리사회복지법인인 '정토마을안락원' 인가를 받아 지금까지 정신지체아 20여명을 돌보고 있다.
'노가다 스님'으로 불러달라는 유화 스님은 무료급식 장보기, 절내 건축일, 텃밭가꾸기 등 손수 일을 찾아하고 있다.
또 매주 월요일 대구역에서 노숙자를 위해 무료급식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선진국이 될 수록 정신수준이 따라가지 못하면 소외돼 노숙자가 된다"는 스님은 "경제적 어려움보다 정신적으로 사회에 적응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물 흐르는대로 사는 게 인생"이라는 유화 스님은 "정신지체아 10여명을 더 수용할 보금자리를 만드는 일에 전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053)852-7888. 전수영기자 poi2@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