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단의 원로 대여(大餘) 김춘수(金春洙) 시인이 29일 오전 9시경 타계했다. 향년 82세. 김 시인은 지난 8월 4일 저녁식사 중 기도폐색으로 쓰러져 분당 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 입원, 인공호흡기에 의존한 채 넉달째 투병생활을 해왔다.
경남 통영 출신인 김 시인은 일제 때 일본으로 유학해 니혼(日本)대학 예술학과 3학년 재학 중 중퇴했으며, 귀국 후 중고교 교사를 거쳐 경북대 교수와 영남대 문리대 학장, 제11대 국회의원, 한국시인협회장을 역임했다.
1981년부터 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자유아세아문학상, 경북문화상, 예술원상, 대한민국문학상, 은관문화훈장, 인촌상, 대산문학상, 청마문학상 등을 받았다.
1946년 광복 1주년 기념시화집 '날개'에 '애가(哀歌)'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고, 1948년 첫 시집 '구름과 장미'에 이어 '꽃의 소묘',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처용단장', '쉰 한편의 비가' 등 시선집을 포함해 25권의 시집을 남겼다.
릴케와 실존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은 시인은 '꽃을 소재로 한 초기시에서부터, 관념을 배제하고 사물의 이면에 감춰진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 '무의미시'에 이르기 까지 60년 가까이 한국시단에서 모더니스트 시인으로의 위상을 지켜왔다.
병원 중환자실에서 의식을 잃은채 인공호흡기에 의지해 투병생활을 하고 있던 지난 11월 11일에는 제19회 소월 시문학상 특별상 상금 300만원을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내놓기도 했다.
그의 문학세계를 총정리한 '김춘수 전집'(현대문학·전5권)이 지난 2월 출간됐으며, 이후 발표한 시를 묶은 신작시집 '달개비꽃'과 산문집 1권은 출간을 보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부인 명숙경(明淑瓊) 씨와는 5년 전 사별했으며, 유족은 영희(英姬·59), 영애(英愛·57), 용목(容睦·56·신명건설 현장소장), 용욱(容旭·54·지질연구소연구원), 용삼(容三·52·조각가) 등 3남2녀. 빈소는 삼성서울병원에 마련됐으며, 장지는 부인이 묻혀있는 경기도 광주 공원묘지이다.
조향래기자 swordj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