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된 지역경제의 활로를 찾기 위해서는 각 도시의 강점을 살려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윈-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 각계가 이 같은 논의의 중심으로 삼는 도시는 첨단산업 구축이 쉬운 포항·구미와 연구개발(R&D) 중심의 대구 등 3개 도시다.
조만간 있을 대구-포항간 고속도로 개통은 이 같은 논의에 탄력을 더하고 있다.
29일 오후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회의실에서 열린 낙동경제포럼(이사장 김만제) 정책세미나에서는 '대구-구미-포항 광역경제벨트'를 구성해 지역경제를 살려야 한다는 게 핵심 내용이었다.
이 자리에서 곽창규 여의도연구소 정책개발실장은 대구·경북간 협력방안으로 대구·구미·포항간 '대구포광역조합(Metropolitan Union in Daegu, Gumi and Pohang)' 설립과 '대구광역도시권 개발기구'의 설치를 제안했다.
곽 실장은 "'대구포광역조합'은 대구의 연구개발과 부품생산, 구미의 전자관련 생산과 조립단지, 포항과 창원의 기계관련 연구소 등이 연계된 '골든 트라이앵글'을 구축해 영남권 전체의 동반 발전을 꾀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3개 지방자치단체를 회원으로 하는 법인 형태로 꾸려야 한다"고 했다.
또 행정이나 투자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대구광역도시권개발기구'를 통해 지역간 협력사업 선정, 사업 우선순위 조정, 재정조달 및 분담 방안 등 문제를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성재 경희대 교수는 '대구·경북 광역경제권과 구미의 역할'이란 주제발표에서 "대구·포항과 네트워크를 구축해 구미지역 내 연구인력 및 혁신역량 부족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구미-대구-포항을 잇는 '광역 클러스트(덩어리)'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클러스트를 통해 각 지원기관간 정보교환, 공동연구 추진, 생산-지원-연구 협력, 공동 마케팅 활동 등을 펴야 한다는 것이다.
강병수 충남대 교수도 △대구·구미·포항을 잇는 전자소재 및 고부가가치 섬유소재산업의 삼각 클러스터벨트 조성 △대구-포항고속도로 IC 반경 10km내에 제조업, 물류단지, 정보단지 등 복합 개발 △대구-포항고속도로와 포항 영일만 신항 등 광역교통체계 정비 △대구와 포항 지역혁신협의회의 협력 시스템 구축 △대구-포항간 광역권 지역개발계획 수립 등을 제안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