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LG카드 채권단-LG그룹, 분담규모 공방 계속

협상은 계속…막판까지 줄다리기

LG카드 증자금액 1조2천억원의 분담을 놓

고 채권단과 LG그룹간 한치의 양보도 없는 공방이 30일에도 계속됐다.

그러나 양측은 전날 심야 고위급 협상을 벌인데 이어 이날도 의견을 교환하고

있어 막판 대타협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LG카드 채권단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법정관리나 워크아웃 등 채권자 공동으

로 정상화를 추진하기 위해 출자전환할 경우 무담보 채권을 기준으로 분담규모를 결

정하는 것이 기본원칙"이라면서 "LG그룹이 지금이라도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합리적

인 배분안을 제시한다면 적극적으로 수용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LG그룹은 지난 29일 ▲분담금액 배분기준을 '청산때 손실액'으로 해 채권단이 1

조152억원~1조200억원, LG그룹이 1천800억원~1천848억원을 분담하는 안과 ▲증자때

의 경제적가치 증가분을 기준으로 채권단이 6천640억원~6천884억원, LG그룹이 2천39

9억원~2천643억원을 각각 분담하자고 제안했다.

채권단은 이에 대해 즉각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으며 공식입장도 밝히

지 않았으나 하루가 지난 이날은 LG그룹의 분담기준 산정방식 등을 조목조목 비판했

다.

채권단은 우선 "첫번째 방안의 경우 채권단이 이미 출자한 3조5천억원을 빼고

계산해야 하는데 이를 포함시켰다"고 지적했다.

채권단의 논리에 따르면 청산때 손실액은 채권단이 6천420억원, LG그룹이 7천54

3억원이 돼 증자금액 1조2천억원을 이 비율대로 배분하면 LG그룹의 분담액이 더 많

아진다.

채권단은 또 두번째 안에 대해서도 "담보채권은 출자전환 분담규모 산출 때 고

려대상에서 제외돼야 하는데 이런 기본적인 개념조차 무시했다"면서 "이는 기업구조

조정에서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해괴한 논리를 기초로 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채권단은 아울러 "김&장, 광장, 삼일회계법인 등이 같은 논리로 분담금을 산정

한 것은 이들 기관의 독립성을 의심하게 만든다"고 밝혔으며 LG투자증권 매각차익

부족액 2천717억원을 채권단이 우선 메워야 한다는 주장에는 "의무사항이 아니라 선

택사항"이라고 반박했다.

채권단이 입장을 밝힌 직후 LG그룹도 뒤질세라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 유수의

법률 및 회계법인 의견을 토대로 제시한 방안에 대해 '해괴한 논리' 등의 표현을 쓰

며 흥분하는 것은 이들 기관의 권위와 명예를 훼손한다"면서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

는 소모적인 노력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LG그룹은 "LG그룹이 제시한 배분기준은 산업은행이 11월25일 공문에서 제시한

근거와 일치하는 것"이라면서 "산업은행 주장과 달리 분담률 산정에서 담보채권은 1

00% 배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양측은 공방전과 별도로 협상을 계속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상당한 수준

에서 의견접근이 이뤄진 것으로 금융계는 보고 있다.

양측은 전날 밤 산업은행 이윤우 부총재와 LG그룹 강유식 부회장간에 심야협상

을 진행했으며 협상결과에 따라 유지창 총재와 구본무 회장의 만남도 계획했던 것으

로 알려졌다.

LG그룹 관계자는 심야협상에 대해 "채권단이 논리만 바꾼 채 종전에 제안했던 6

천700억원을 다시 들고 나왔다"면서 "내부 논의를 거쳐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채권단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