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라서인지 수첩을 펼 일이 많아진다. 수년째 사용해온 낡은 수첩. 꽤나 복잡해진 그것을 뒤적이노라면 손때 묻은 갈피마다 시간의 흔적들이 오롯이 배어있음을 느끼게 된다. 먼 이국에서 뿌리 내리고 있는 벗들, 또 이젠 소식이 희미해진 사람들의 이름을 보면 그리움이 물안개처럼 피어난다. 그 이름 석자만으로도 마음이 따스해지고, 기쁨이 샘솟고, 고맙고, 보고 싶어지는 사람들이 있다. 더러는 세월이 갈라놓은 틈을 느끼게 하는 이름, 미안해지는 이름들도 있다.
수첩 속의 이름 중 두 사람은 돌아올 수 없는 먼 곳으로 갔다. 한 사람은 삼년전, 또 한 사람은 보름 전 쯤.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수첩 속에서 살아있다. 당장에라도 전화를 걸면 여보세요, 반가운 목소리가 들려올 것만 같아 차마 그 이름들을 지우지 못하겠다.
을유년의 시간도 한 치의 예외없이 흘러간다. 올해도 새 이름들이 우리의 수첩에 올려질 것이고, 차마 지우지 못할 이름들도 생겨날지 모른다. 며칠 전 가수 길은정의 죽음은 미리 준비하는 삶을 생각하게 만든다. 일분일초가 힘겨울 말기암 환자로서 어떻게 그 젊은 나이에, 그토록 강인하고 초탈한 자세로 삶을 마무리할 수 있었는지 놀랍다. 죽음도 꺾지 못한 그 열정은 아마도 매순간 최선을 다하려는 자세 때문이었을 것이다.
세계 평화의 전도사로, 또한 가난한 이들을 위해 손수 망치를 들고 집을 지으면서 노후를 바쁘고 보람차게 살아가는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작년에 특유의 활짝 웃는 웃음과 함께 "난 이제 겨우 80세라오"라며 유머를 던졌던 그는 저서'나이 드는 것의 미학'에서 참 근사한 말을 했다. 앵커 바바라 월터스가 "당신은 흥미진진하고 도전적인 인생을 살았습니다. 그 가운데 최고는 언제였다고 생각하십니까?"라고 묻자 이렇게 답했다. "바로 지금인 것 같군요".
카리스마 넘치는 연극인 박정자씨의 핸드폰 기초 화면 문구는'삶의 절정'이라 한다. 오늘은 우리 각자의 남은 삶에서 가장 젊은 날이다. 비록 지난해보다 잔주름이 더 생겼고, 걱정거리도 여전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잊지말 것은'바로 지금'이'내 삶의 절정'이라는 사실!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