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출발!2006大入-실전대비 핵심체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교과서는 수능 시험을 위한 출발점이다. 교과서 정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국어, 문학, 독서, 작문 교과서를 토대로 중요한 작품이나 지문을 철저히 분석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일상적 상황을 교과 개념이나 주제와 연관시켜 해석해 보고, 또 교과 내용을 일상적 문제 해석이나 해결 방안과 연관시켜 보는 등 실생활과 관련시켜 사고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한다.

▶ 어휘력

다양한 독서 체험을 통해 어휘력을 기른다. 독서를 할 때에는 반드시 사전을 옆에 놓고 항상 참고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그러나 사전적 의미에 만족하지 말고, 단어의 다양한 의미 용법을 이해하고 난 뒤, 문맥적 의미를 항상 확인해 둔다.

▶ 사실적 사고 능력

다양한 종류의 글이 지문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여러 분야의 글을 폭넓게 읽어 배경 지식을 충분히 쌓아 두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정확하고 빠른 독서는 충분한 배경 지식이 있을 때에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중요 사항은 꼼꼼하게 메모하면서 읽는 습관을 갖도록 한다.

▶ 추리·상상적 사고 능력

글을 읽을 때에 단순히 제시된 정보를 수용하는 데에 머물지 말고,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생산해 내는 데 신경을 쓴다. 특히, 글 가운데 생략되어 있는 내용은 없는가, 이 글 앞에는 어떤 내용이 나왔을까, 뒤에는 어떤 내용이 나올까, 서술자의 의도 또는 입장은 무엇일까 등을 생각하면서 읽는 훈련을 한다.

▶ 비판적 사고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이라고 해서 부정적 판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글을 읽고 주어진 정보의 정당성 여부를 평가하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주어진 어떤 점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지를 따지며 읽는 습관을 지니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자신이 쓴 글을 객관적 입장에서 비판의 여러 준거에 따라 평가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 분석의 궁극적 목적은 종합

글 전체를 온몸으로 느끼며, 줄거리에 젖어드는 독서를 해야 예민한 언어감각이 개발된다. 그런 다음 여러 관점에서 분석하고 다시 통합하는 훈련을 해야 응용 가능한 논리력과 추리력 등을 기를 수 있다.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없으면 외국어 영역은 물론이고 나아가 사회탐구, 과학탐구 문제의 해결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윤일현(송원학원진학지도실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