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율 북핵 유가 삼재(三災) 경기회복에 발목

환율 급락세와 북핵 위기, 다시 고공행진 추세를 보이고 있는 원유 등 국제원자재 시세 등 3가지 악재가 경기회복세에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3일 한국은행과 민간경제연구소 등에 따르면 여타 경기변수들이 불변인 것을 전제로 할 경우 연간 기준으로 원화가 1% 절상되면 국내총생산(GDP)는 0.05%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달러 환율은 22일 종가가 1천6.10원으로 작년 말 1천35.10원에 비해 2.88% 절상됐다.

따라서 이러한 원화 절상폭이 1년간 지속된다고 가정하면 GDP에 0.14%포인트 정도 하락요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최근의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이 달러 공급우위 상태를 지속하고 있어 환율의 추가하락은 물론 1천 원선의 붕괴마저 우려되고 있어 GDP 성장률에 악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원·달러 환율의 급격한 하락세는 한은이 당초 올해 상반기 3.4%, 하반기 4.4% 등 연간 4.0%의 성장률 전망을 수립할 때 전제로 삼았던 환율변동 예측 시나리오의 오차범위를 이탈하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환율이 급락세를 이어간 후 상당기간 낮은 수준에서 고착화할 경우 경기의 조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무산됨은 물론 성장률이 더 하락할 가능성마저 우려된다.

이와 함께 원유를 비롯한 국제원자재 시세가 안정될 기미를 보이기는커녕 올 들어 계속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는 점 역시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또 최근 북한의 핵무기 보유 선언으로 증폭된 지정학적 리스크 역시 경기회복세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 한은 관계자는 "환율과 유가, 북핵 문제 등이 겹치면서 경제상황이 낙관적이지 못한 국면으로 흐르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