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옛 금오공대 부지 공매가 웬 말" 교육부 방침에 구미시·상공인단체 반발

"R&D 기능 집적해야"

구미 옛 금오공대 부지 활용을 두고 교육인적자원부와 구미시 간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해 말 양호동 새 건물로 이전한 옛 금오공대 부지 2만7천650평, 연건평 1만7천150평(17개동)을 지난달 공매처분키로 결정하자 구미시와 상공인단체가 반발하고 나선 것.

지난달 공개매각 방침을 결정한 교육부는 지난 5일 금오공대 측에 매각절차 관련공문을 발송하고 이달 중 부동산 감정평가 실시와 잡종 재산으로의 용도변경 승인을 요청, 다음달 매각공고 등 구체적인 일정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구미시와 상공단체는 "옛 금오공대 부지가 경부 고속도로 구미IC에 인접해 있어, 주택업체나 건설업체들이 눈독을 들이는데, 매각될 경우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게 되고 혁신클러스터 사업은커녕 구미시의 관문만 망치게 될 것"이라며 매각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다.

구미시는 대신 이곳에 혁신 클러스터 사업을 지원하는 R&D 기능 집적화를 위해 △혁신 클러스터 추진본부(3천800평) △첨단 전자기기 집적화센터(3천700평) △구미디지털전자산업관(5천 평) △디지털산업도서관(1천300평) △공공기관 및 대학협력센터(2천 평) 설립 등의 방안을 마련해 놓고 있다.

이 가운데 구미디지털전자산업관은 올부터 3년 동안 총 사업비 450억 원을 들여 지하1층 지상 3층 규모에 디지털체험관, 전시장, 국제회의실 등을 갖추는 사업으로 이미 올해 산자부 예산에 50억 원이 편성돼 있다.

이와 함께 산업자원부도 교육부의 매각방침과는 달리 옛 금오공대 부지를 기반으로 △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 △R&D 기반개선 △기술컨설팅 및 애로기술 지원 △차세대 전자부품소재 기술개발 △혁신포럼 및 미니클러스터 운영 등의 구미 혁신클러스터 사업을 추진 중이어서 부처 간 갈등도 우려되고 있다.

산자부는 특히 구미 국가산업단지에 내년부터 2008년까지 총 1천400억 원을 지원해 국내 첨단 전자산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도록 할 계획이다.

구미·김성우기자 swkim@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