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 헌정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소추를 주도했던 이른바 '탄핵주역'들은 1년이 지난 지금도 '탄핵 후폭풍' 여파에서 자유롭지 못한 듯하다.
박관용(朴寬用) 전 국회의장,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 전 대표와 홍사덕(洪思德) 전 원내총무, 민주당 조순형(趙舜衡) 전 대표와 유용태(劉容泰) 전 원내대표 등 탄핵주도 세력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정치현장을 떠나 있는 상태.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탄핵이 옳았다'는 소신과 탄핵 강행의 불가피성을 역설하며 자신들의 행동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 연장선상에서 정치적 재기의 꿈을 접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질서유지권을 발동하면서까지 탄핵안의 국회 본회의 상정 및 처리를 강행했던 박관용 전 의장은 의장 선출 전 약속대로 정계를 은퇴, 지금은 부산 동아대 석좌교수로 활동하며 한 달에 1, 2번씩 출강하고 있다
그는 최근 탄핵과정 뒷얘기를 담은 '다시 탄핵이 와도 나는 의사봉을 잡겠다'는 제목의 저서를 출간, 자신의 결정이 옳았음을 강조하고 있다.
본인 의사와 관계 없이 17대 총선에 불출마한 최병렬 전 대표는 현실정치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그는 한동안 정치적 재개를 꾀하기도 했으나 지금은 '관선 서울시장' 재직시절인 지난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사건 이후 결성한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활동에 간간이 간여할 뿐 대외활동은 뜸한 편이다.
지난 17대 총선에서 고양 일산갑에 출마했다가 고배를 마셨던 홍사덕 전 원내총무는 서울의 개인사무실에서 탈북자 관련 활동 등을 벌이고 있으며, 지금도 '여의도 사람들'과 자주 만나며 정치활동 재개를 위해 물밑노력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순형 전 대표는 17대 총선에서 '지역주의 타파'를 내세워 대구 수성갑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뒤에는 독서 등으로 소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유용태 전 원내대표는 17대 총선에서 서울 동작을에 출마, 3위로 낙선한 뒤 지인들을 만나는 것 이외에 대외활동을 중단하고 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