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에 줄기세포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됐는데 맞는 예측인가.
▲미리 기자들에게 이 부분에 대해 함구하기로 말씀드렸다.
이해해 달라.
-지난해 가을께 국내 언론에 정전 사고로 배아가 두 개만 남아 자살을 생각할 정도로 참담한 상황이 있었다는 글을 남겼는데 당시 상황을 수습했던 '을순'이란 연구원이 누구인가. 또 지난번 입국 기자회견에서 밝혔던 '말도 안 되는 황당한 일'이 무엇인가.
▲정전사고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며 2003년 일이다.
'천신만고'라는 표현이 적합하다고 본다.
지구상 최초로 한 콜론이라고 부르는 줄기세포 덩어리가 100덩어리 이상 복제돼 조금 안심했더니 예기치 않은 정전사고가 있었으며 아주 변덕스럽고 예민한 줄기세포가 두 개를 남기고 전부 죽어버려 하늘이 무너지는 줄 알았다.
그런데 다음날 가봤더니 남은 두 개가 많이 자라 있었다.
'말도 안 되는 황당한 일'은 국가 위신에 관계되는 일이라 10년 후에 웃으며 소개하겠다.
-연구결과에 비밀·보안성이 있다는 것은 과학연구에 국경이 있다는 것인데 과학과 내셔널리즘과 관련해 의견이 있다면.
▲사이언스를 막을 국경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사이언티스트에는 조국의 개념이 있어야 한다.
사이언스는 전인류의 복지를 위해 나가는, 미래를 위해 나가는 희망과 꿈의 열차다.
하지만 그길에서 조금 해놓고 이것을 자랑스럽게 다 공개했을 때 다음 단계는 우리가 아닌 제3자가 열매를 맺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 인류의 고마움을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받게 하고 싶다는 것이 보안성을 강조하는 이유다.
국수주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메이드인코리아의 기술로써, 자랑스러운 제품으로 전 인류에게 나눠줄 수 있다면 가슴 뿌듯한 일이 될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황 교수 지원 프로젝트를 가동하면서 노벨상 수상 가능성을 높이는 활동, 다시 말해 로비라고 할 수도 있는 활동을 하겠다고 공언한다.
과학자로서 본인이 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관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을 가능성이 얼마나 된다고 보나. 국민들은 계속적인 지원을 하겠지만 정부나 민간차원의 후원들에 대해 바라는 점이 있다면.
▲노벨상을 어떻게 하는지 전혀 모른다.
나의 목표도 아니다.
저는 역사에 만약 한 줄 기록이 된다면 '참과학도였다'는 기록이 어느 가치보다 소중한 재산으로 남을 것이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