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일 근무제 시행 첫날 대구.경북지역 관공서는 모두 문을 닫았으며 민원부서만 일부 직원들이 출근해 민원상담에 응했다.
대구시 및 구.군청은 민원실 직원이 2명씩 출근해 오후 1시까지 민원인의 전화 상담을 했다. 대구지검은 민원실 직원들이 2인 1조로 나와 각종 증명서 발급과 서류접수를 했으며 대구지법도 저당권 설정 신청 등 서류접수는 정상적으로 했다. 법원 관계자는 "법원은 업무 특성상 접수 시간에 따라 권리 관계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민원 서류 접수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대구 경제계는 평온한 토요일을 맞고 있으나 앞으로의 변화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00인 이상 종업원을 둔 업체가 많지 않아 휴무 기업 수가 크게 늘지는 않았지만 앞으로 휴무가 대세라는 데에는 공감하는 분위기이다.
모두 2천300여개 업체가 입주해 있는 대구 성서공단의 경우 300인 이상 사업장은 평화발레오·희성전자·KCW 등 3개로 이미 작년부터 주5일제 근무를 하고 있어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2일에는 평화발레오만 전면 휴무에 들어갔고, 희성전자와 KCW는 일부 근로자들이 특별근무 형태로 일했다. 성서공단 내 99%에 달하는 50~100인정도의 사업장 대부분은 정상조업했다.
구미공단에선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과의 협력관계를 이루고 있는 하청업체 가운데 60여 업체들은 주40시간 대상사업장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대기업과의 업무연계성으로 토요휴무를 실시해 구미공단이 크게 조용해진 분위기다.
포항철강공단내 190여개사 가운데 종업원이 300인 이상인 곳은 13개 업체에 불과해 대부분 평상시와 같이 정상출근했다. 그러나 일부 업체들은 원청업체에 따라 동반휴무를 실시하기도 했다.
중소기업들은 금융기관에 이어 관공서 및 대기업들이 주5일근무제를 본격화함에 따라 직원 사기 등을 고려해 '토요 휴무' 분위기에 편승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자동차부품업체 직원 권모(32)씨는 "공무원들이나 대기업체 직원은 모두 주 5일 근무를 한다는데 우리같은 중소기업 근무자는 그림의 떡"이라며 "솔직히 자존심도 상하고 애들 얼굴 볼 면목도 없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하지만 토요 휴무를 실시하는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주5일 근무 실시를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대구시 사무관 손해식씨는 "지금까지 격주 휴무를 실시했지만 완전 휴무는 처음이라서 마음이 약간 설렌다"며 "앞으로 주말에 할 수 있는 연간 프로그램을 만들어 의미있게 보낼 생각"이라고 들뜬 기분을 드러냈다.
사회1.2부, 경제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