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이 북핵문제 등으로 외환위기 이전의 등급을 회복하지 못한 채 3년여 동안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중국과 홍콩, 싱가포르 등 경쟁 상대국들이 속속 신용등급이 올라가거나 최고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27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피치사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무디스 등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2002년 상향 조정한 후 3년째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피치는 26일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종전의 'A' 등급으로 유지한다고 밝혀 2002년 6월 신용등급을 'BBB+'에서 'A'로 2단계 상향 조정한뒤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조정하지 않고 있다.
S&P도 2002년 7월 'BBB+'에서 'A-'로 1단계 상향 조정한 후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조정하지 않고 있고 무디스는 2002년 3월 'Baa2'에서 'A3'으로 2단계 올린뒤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피치와 S&P는 외환위기 직전 우리나라에 각각 'AA-', 무디스는 'A1'의 신용등급을 부여했었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아직도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2∼3단계 낮은 신용등급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연합)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