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조 파업 과정에서 조종사들의 영어구사 능력을 놓고 일각에서 논란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조종사와 관제사의 70% 이상이 국제선 관련업무를 보기에는 부족한 영어실력을 가지고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건교위 소속 한나라당 김병호 의원이 26일 공개한 교통안전공단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30일 현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공인한 영어구술능력평가인 G-TELP 시험을 치른 국내 조종사와 관제사 434명 중 국제선 관련 업무를 볼 수 있는 등급인 4~6등급을 받은 이는 27%(117명)에 불과했다.
반면 국제선 업무수행 불합격권인 3등급 이하의 점수를 기록한 사람은 전체 응시자의 73%인 317명으로 이 중 조종사는 269명, 관제사는 48명으로 집계됐다.
ICAO가 지난해 9월 발표한 항공종사자 영어구사능력 규정은 오는 2008년 3월5일부터는 G-TELP 4등급 이상을 취득한 조종사 및 관제사만이 국제선 관련업무를 볼 수있도록 하고 있다.
앞서 아시아나 조종사 노조는 사측에 '승격시 영어시험(토익 630점 이상) 조건폐지'를 요구하고, ICAO가 2008년 영어실력 등급 평가제를 도입할 때 노조와 영어자격시험 적용 여부를 논의하자고 주장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