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 현재 지방자치단체 여성 공무원의 비율이 처음으로 25%를 넘어섰고 이 같은 여성공무원의 증가세는 최근 여성 합격률 상승에 힘입어 지속할 것으로 전망됐다.
24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지자체의 여성공무원은 전년 대비 4천935명, 8.3%가 늘어난 6만4천683명으로 전체 지자체 공무원 25만6천424명의 25.1%를 차지했다. 중앙부처의 여성공무원 비율은 작년 말 현재 20.1%이다.
이는 매년 시행되는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7급 37.1%, 9급 47.3% 등 여성합격자의 비율이 크게 높아지는 등 여성의 공직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남성 위주로 배치됐던 기획·예산·인사·감사 등 주요 부서에 대한 여성비율도 전년의 14.5%에 비해 3.6%포인트가 상승한 18.1%를 기록하는 등 성별에 따른 보직의 벽도 점차 무너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읍·면·동장은 여성이 전체 3천575명 중 90명으로 2.5%, 여성 통·리장은 전체 9만1천605명 중 3만2천352명으로 35.3%를 각각 차지했다.
민선3기 지방의회 여성의원은 광역의원의 경우 682명 중 63명으로 9.2%, 기초의원은 3천485명 가운데 77명으로 2.2%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작년에 여성공무원의 출산휴가자는 2천914명으로 전년의 3천233명에 비해 10.9%나 줄어 공직사회에서도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현상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남성공무원의 육아휴직은 2003년 67명에서 2004년 97명으로 44.8%나 증가했지만 여성은 작년에 989명으로 전년의 1천40명에 비해 51명, 4.9%가 감소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