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지방자치단체들이 필요 이상으로 호화청사를 짓는 경우 교부세를 받을 때 불이익을 받게 된다. 또 최근 크게 늘어난 각 지역의 축제는 경비집행 내역을 공개해야 하며 중앙정부의 효율성 점검도 받게 된다.
기획예산처는 8일 재정관리점검단회의를 개최, 지자체의 호화청사와 낭비성 축제 등 예산낭비사례에 대응체계를 마련,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 1년 예산의 31(옹진군)~66%(금천구)를 투입해 새 청사를 짓는 바람에 언론과 시민단체 등에서 대표적인 예산 낭비사례로 제기돼 왔는데 이에 대해 지방재정분석제도를 개편, 낭비성 지출에 대해 평가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특별교부세를 교부할 때는 예산낭비를 줄이려는 지자체를 우선 배려하는 등의 방식으로 차등지원하는 방안도 행정자치부 주관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지난 94년 287개이던 지방축제가 지난해 1천178개로 급증하고 소재와 목적이 유사한 축제도 많이 생기는 것과 관련, 지방행정과 재정에 부담이 되는지를 점검하기로 했다.
기획처는 "문화관광부 주관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전국 500여 개 지역축제에 대해 실태조사와 평가용역을 실시중"이라면서 "축제경비 집행내역을 홈페이지에 공개하는 등 축제 효율화 방안을 강구해 예산 낭비를 막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각 부처의 예산낭비신고센터에 접수된 사례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업무처리절차 매뉴얼을 배포, 대응업무 표준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