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화장품의 용기에 제품의 사용기한과 모든 성분명이 표시되고 프탈레이트, 사람의 태반 등 안전성 의심 물질의 사용이 금지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소비자의 보호와 알권리 충족을 위해 화장품 원료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표시기준을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화장품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라 레티놀, 아스코르빈산 등 5개 성분 함유 제품에 대해서만 사용기한을 용기와 포장에 나타내도록 한 현행 규정을 바꿔 앞으로는 모든 제품에 사용기한이 명기된다.
또 보존제, 타르색소 등 특정 성분만을 용기와 포장에 표시하도록 한 현행 성분표시 규정이 모든 성분을 기재하는 '전(全) 성분표시제'로 확대된다.
이와 함께 생식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디부틸프탈레이트(DBP)와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성분은 사용이 금지되고 원료에 대한 규격기준이 확립돼 있지 않아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사람의 태반 유래 물질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케노코나졸, 메탄올, 콜타르, 파라페닐렌디아민 등 안전성 우려 성분도 사용이 금지되고 발암 가능성이 우려되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는 잔존허용기준량이 설정된다.
식약청은 필요할 경우 공청회 등 여론 수렴 절차를 거쳐 늦어도 내년 1월부터는 화장품법 개정안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