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대구 국제육상경기대회'가 23일 치러진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대구 월드컵 축구장 내 국제 공인의 육상 경기장에서 세계의 건각들이 열전을 벌인다. 20여 개 국에서 초청된 선수 중에는 각종 그랑프리 대회 3위 이내 입상자가 즐비하다. 세계 최강의 장거리 철녀 디바바 자매와 바람보다 빠른 사나이 게이틀린, 여자 단거리 경주 독무대를 예고하는 로린 윌리엄스 등 세계 육상계를 대표하는 선수들이 대거 참가한다.
이번 대회는 그러나 외국 유명 선수들만의 잔치가 아니다. 세계 건각들과 함께 우리 육상계의 별들이 기량을 겨룬다. 기록을 볼 때 경기 결과는 외국 유명 선수들의 독무대가 예상되지만, 승패를 떠나 우리 선수들이 한 수 배우는 기회다. 스피드와 인내를 겨루는 육상 경기의 박진감 넘치는 묘미를 대구'경북 시민들이 맘껏 즐길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이번 대회의 성공은 대구시가 계획하고 있는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치'로 직결된다. 세계선수권대회의 전초전인 셈이다. 이번 대회에 그다지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정부나 대기업도 과연 대구가 세계육상대회를 치를 능력이 있는지를 지켜볼 터다. 대구를 알지 못하는 세계 각국의 눈들도 대구가 이번 대회를 어떻게 치러내는지 지켜보게 될 것이다.
대회 성공 여부는 선수들의 기록 경신보다는 시민의 참여와 열기에 달려 있다. 2년 전 치러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는 대구라는 도시 브랜드를 세계에 알렸다. 다 함께 하나 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 덕분이었다. 스포츠를 비롯 각종 세계적 행사를 대구로 불러오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대구를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기회는 시민들의 지원과 참여 없이는 다가오지 않는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