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신문 초청 동을 재선 후보 토론회

매일신문은 17일 대구 동을 국회의원 재선거 후보 초청 토론회를 열어 후보들로부터 이번 선거의 의미, 공약 실천방안 등을 들었다. 토론회에선 공공기관 동구 유치, K2 비행장 소음 해결 등이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참석자는 기호1번 열린우리당 이강철 후보, 기호2번 한나라당 유승민 후보, 기호4번 민주노동당 최근돈 후보, 기호5번 자민련 이명숙 후보, 기호6번 무소속 조기현 후보 등이었다. 사회는 매일신문 이상훈 정치부장이 맡았다.

이번 동을 재선의 핵심 쟁점인 선거의 의미, 공공기관 동구 유치 및 비행장 문제에 대해 들어봤다.

■선거의 의미

△이강철=한나라당 의원의 선거법 위반으로 발생한 재선거다. 또 동구주민, 대구시민을 어떻게 먹고 살게 할 것인가, 지역을 어떻게 발전시키는가에 초점이 맞춰진 선거다.

△유승민=지역을 발전시키고, 나라 일꾼을 뽑는 인물·정책대결은 당연하지만 한나라당이 정권을 찾아올 수 있느냐를 가늠하는 선거이기도 하다.

△최근돈=노무현 정권의 실정을 중간 평가하고, 소수 기득권 세력과 재벌 이익만을 지키는 한나라당의 무능을 심판하는 선거다.

△이명숙=서민들을 따뜻하게 감싸안는 정치를 하고, 그런 사람을 뽑는 선거다.

△조기현=동구에 살면서 지역사정을 잘 아는 참일꾼을 뽑는 선거다.

■공공기관 동구 유치

△이강철=청와대 수석으로 있으면서 공공기관 이전문제를 총괄했다. 공공기관은 대구에서도 가장 낙후된 동구를 확실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국책사업이다. 공공기관 이전지 확정 전 두 차례 정부협의가 있는데, 유치 타당성은 물론 정부를 설득할 자신도 있다. 금배지를 걸겠다.

△유승민=정치논리가 아닌, 대구시와 입지선정위원회가 결정할 문제다. 동구에는 땅이 많고, 어느 지역보다 낙후돼 있다는 점 등을 들어 선정위원들이 동을로 이전하는게 합리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도록 설득하겠다.

△최근돈=공공기관 이전은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대구 전체를 놓고 검토해야 한다. 동구를 포함해 각 지역에 분산 배치해야 한다는 게 원칙이다.

△이명숙=공공기관 부지는 50만 평인데, 동구 신서동에 43만 평 부지가 있으니 그곳으로 이전하면 된다.

△조기현=유치지역은 동구가 적합하다. 이를 정치논리가 아니라 행정논리로 풀어야 한다.

■동촌비행장

△이강철=선거 때마다 비행장 이전 얘기가 나왔다. 주민들은 이제 이를 믿지 않는다. 이전은 장기과제이고, 피해보상부터 해야 한다. 현재 소음 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있으며, 특별법을 제정해 주민들에게 충분한 보상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유승민=주민들이 비행장 이전을 체념하고 있다. 그러나 전투기 소음을 그대로 두고는 동구 발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행장을 반드시 이전해야 한다. 군사정권 때는 못했지만, 이제 못할 이유가 없다.

△최근돈=비행장 소음은 동구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이명숙=주민들에게 헛공약을 남발해서는 안된다.

△조기현=비행장 이전은 국가차원의 문제다.

(정리=이종규.김병구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