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철강재 수송 대란 우려

화물연대 포항지부 파업 참여땐 지역도 타격

전국운송하역노조 화물연대가 18일 총파업을 결정함에 따라 화물연대 포항지부도 파업에 나설 것으로 예상돼 철강재 수송에 큰 차질이 우려되는 등 물류대란이 현실로 다가왔다.

하루평균 3만t의 철강재를 수송하고 있는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운송 계약을 맺고 있는 5개 운송사가 화물연대에 가입돼 있지 않아 제품수송에 어려움이 없는 상태다. 현대INI스틸과 동국제강도 자회사인 글로비스와 동국통운을 통해 제품 수송에 나서고 있어 파업으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소 철강업체의 경우 대부분 화물연대 조합원들의 차량을 이용해 제품을 수송하고 있어 파업이 본격적으로 실시되면 제품 수송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포스코 등 대기업들도 당장 수송에 문제는 없지만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도로 봉쇄, 공장문 점거 등 물리력을 동원할 경우 수송이 원천 봉쇄돼 물류대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현대INI스틸 김창기 총무팀장은 "화물연대와 관련없는 자회사를 통해 제품을 수송하기 때문에 종전처럼 출입문 봉쇄 같은 불상사만 발생하지 않는다면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경찰은 화물연대의 물리력 동원에 대비해 대책마련에 나섰다.

화물연대 포항지부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 2003년 5·15 노·정합의를 대부분 실행하지 않고 있는데 근본 원인이 있는 데다 조합원들의 정서가 최악"이라며 "19일 결정되는 지휘부의 방침에 따라 앞으로 파업일정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화물연대는 지난 6일 정부가 △유가보조금 압류를 제한할 수 있는 입법 추진 △운수회사의 유가보조금 횡령 엄단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시간대 1시간 연장 △불법 다단계 알선행위 상시 단속 △과적 단속제도 개선 등을 골자로 한 처우개선안을 제시했으나 표준 요율제와 유가인하 등의 핵심사항이 빠진 데 불만을 품은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