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미주정상회담이 최대 현안으로 다뤄진 미주자유무역지대(FTAA) 협상 재개 합의에 실패한 채 폐막했다. 미주기구(OAS) 소속 34개국 지도자들은 이틀 일정의 미주정상회담 마지막날인 5일 오후 당초 폐막 시한을 수 시간 넘기고도 선언문 채택에 난항을 겪었다. 결국 정상회담 선언문은 FTAA 협상을 진전시켜야 한다는 미국, 멕시코 등 '찬성그룹' 29개국의 입장과, 알래스카로부터 남미 남단 아르헨티나 티에라 델 푸에고에 이르는 FTAA를 창설할 준비가 아직 돼 있지 않다는 '반대 그룹'의 의견을 모두 담는 형태로 나타났다. FTAA 합의를 도출하는 데 실패한 정상회담 선언문은 당초 이날 낮 12시30분으로 예정된 합의문 서명 시간을 훨씬 넘기고 막후 비공개 협상이 수 시간여 더 진행되는 진통 끝에 나왔다.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을 비롯해 정상회담 참석 지도자들 대부분은 막후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회담 장소를 떠났고 FTAA 문제 추가 논의와 선언문 서명은 고위급 회담으로 넘겨졌다. '찬성 그룹'은 최근 2년간 한걸음도 나가지 못하고 제자리를 맴돌고 있는 FTAA 의 고위급 협의를 이르면 내년 4월에는 재개토록 시한을 정하도록 하기 위해 공격적 자세로 협상을 진행시켰다고 정상회담 관계자들이 전했다. 그러나 FTAA 협상 재개는 베네수엘라,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등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 정회원국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또한 정상회담 개막일 회담 개최지 아르헨 남대서양 연안 휴양지 마르델플라타에서는 무려 2만5천여 명이 참여한 '반미(反美), 반(反) 부시' 시위가 펼쳐졌다. 특히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FTAA를 땅에 묻기 위해 삽을 가져 왔다" 며 반미 시위자들에게 단합을 촉구했다.
차베스 대통령은 자유무역 협정이 중남미 빈민들의 경제를 더욱 어렵게 할 것이라며 남미 좌파를 중심으로 한 대체 무역지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대 그룹' 5개국은 이날 폐막 선언문 부가 조항에서 "보조금 및 왜곡된 무역관행이 배제된 시장 접근과 함께 균형 잡히고 공정한 미주 자유무역 협정에 도달하기 위한 필요 조건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남미 최대 경제국인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 대통령도 이번 정상회담이 고용창출에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자유무역은 국가들 간 평등을 존중해야 한다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마르델플라타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