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고향에는 등기된 집 한 채 있다
아버지가 애써 일군 집
어머니가 금비녀처럼 아끼시던 집
오남매 꿈이 영글어 피어난 외딴집
썩어가는 기둥에 녹슨 못
거미줄이 애써 감싸고
몸통 드러낸 주춧돌이
잡초에 매달린 채 힘겨워 하며
찢어진 양철지붕 빗물 막으려 용쓰다 뒤집혀
바람에도 겁나 떨고 있다
그을린 정지문 붙잡고 의지하는
뒤뜰 가죽나무의 무성한 잎사귀
주인 없이 지켜온 텅빈 마음의
십 년 상처 다독이고 있다
점점 넓혀가는 타성받이 틈에 끼어
그래도 가끔이면 가 보고 싶은 빈집
공영구 '빈집'
고향에는 여전히 어린 시절의 추억이 각인되어 있다. 그 추억을 통해 도시적 삶에서 잃어버린 '나'를 회복하고 위안을 받는다. 또한 반인간적 도시적 삶을 반성하고 용서와 화해를 구한다. 그래서 고향은 우리들의 변함없는 안식처로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그 고향이 사라지고 있다. 마지막 남은 고향의 집마저 등기로만 남아있을 뿐이다. '썩어가는 기둥에 녹슨 못/ 거미줄이 애써 감싸고/ 몸통 드러낸 주춧돌이/ 잡초에 매달린 채' 허물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도 고향은 우리들의 오염된 영혼을 정화시켜주는 영원한 성지(聖地)임에 틀림없다. 그러기에 지난 설 연휴 동안 우리들은 고향으로 끝없이 달려간 것이다.
구석본(시인)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