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이 없으면서 학교에도 가지 않고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15∼34세 사이의 니트(NEET·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n ing)족 가운데 직장을 구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 비(非)구직 니트족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노동연구원 남재량 연구원은 '청년 니트의 실태와 결정요인 및 탈출요인 연구'라는 보고서에서 2004년 기준으로 국내 니트족은 121만4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15-34세 전체인구 1천450만명의 8.4%에 해당한다.
전체 니트족 중 일자리를 구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 비구직 니트족이 80만6 천명에 달해 직장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구직 니트족(40만7천명)의 2배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비구직 니트족은 1995년 전체 15∼34세 인구의 1.6%에서 2003년에는 5.1%로 3.2 배 가량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이런 니트족 증가추세는 니트족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일본보다훨씬 더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비구직 니트족이 97년부터 2002년까지 18.3%(71만6천명→84만7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우리나라는 같은 기간 87.1%(31만8천명→59만5천명)나 늘어난것으로 조사됐다.
남 연구원은 "부유한 가정의 나태한 자녀들 사이에서 니트족이 많은 외국과는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개인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학력이 낮고 비정규직 상태에 있을수록 1인당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니트족이 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남 연구원은 또 "한 개인이 니트족 상태에 머물러 있는 기간이 1.43년으로 추산돼 니트족이 아주 정체돼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30% 가량은 니트족 상태에안주하려고 해 '은둔형 외톨이' 등의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니트 상태에서 빠져나온 것을 분석한 결과 서울 지역은 니트족이 취업할가능성이 높은 반면 전남.전북.충북의 경우 낮아 지역균형발전이 니트족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남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2일 오전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개최되는 '제7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