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이 없으면서 학교에도 가지 않고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15∼34세 사이의 니트(NEET·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n ing)족 가운데 직장을 구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 비(非)구직 니트족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노동연구원 남재량 연구원은 '청년 니트의 실태와 결정요인 및 탈출요인 연구'라는 보고서에서 2004년 기준으로 국내 니트족은 121만4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15-34세 전체인구 1천450만명의 8.4%에 해당한다.
전체 니트족 중 일자리를 구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 비구직 니트족이 80만6 천명에 달해 직장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구직 니트족(40만7천명)의 2배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비구직 니트족은 1995년 전체 15∼34세 인구의 1.6%에서 2003년에는 5.1%로 3.2 배 가량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이런 니트족 증가추세는 니트족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일본보다훨씬 더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비구직 니트족이 97년부터 2002년까지 18.3%(71만6천명→84만7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우리나라는 같은 기간 87.1%(31만8천명→59만5천명)나 늘어난것으로 조사됐다.
남 연구원은 "부유한 가정의 나태한 자녀들 사이에서 니트족이 많은 외국과는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개인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학력이 낮고 비정규직 상태에 있을수록 1인당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니트족이 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남 연구원은 또 "한 개인이 니트족 상태에 머물러 있는 기간이 1.43년으로 추산돼 니트족이 아주 정체돼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30% 가량은 니트족 상태에안주하려고 해 '은둔형 외톨이' 등의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니트 상태에서 빠져나온 것을 분석한 결과 서울 지역은 니트족이 취업할가능성이 높은 반면 전남.전북.충북의 경우 낮아 지역균형발전이 니트족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남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2일 오전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개최되는 '제7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