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학입시 인터넷 원서 접수 중단 사태는 일부 수험생들이 다른 수험생들의 원서 접수를 막기 위해 해킹을 했던 탓으로 밝혀졌다. 놀라운 일이다. 사이버상에 무질서와 타락'불법 행위가 알게 모르게 여러 형태로 자행되고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지만 청소년 수험생들이 이런 일까지 벌일 줄이야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일이다.
대입 경쟁률을 낮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입시 원서 대행 사이트를 무차별 공격한 것은 명백한 사이버 테러다. 도덕성 차원을 넘어 범죄 행위다. 경찰은 이와 관련 고교생'재수생 등 30여 명을 입건했다. 이들 중 4명은 인터넷 과다 접속 프로그램을 제작해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에 유포했고 나머지는 이를 이용해 원서 접수 마감일인 지난해 12월 28일 원서 접수 대행사 2곳의 서버를 공격, 접수를 마비시킨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의 행위로 수많은 수험생들이 임박한 마감 시간까지 접수를 못해 발을 동동 굴렀고, 해당 대학들은 접수를 하루 연장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빚었다. 이 같은 사이버 테러는 2005학년도 수능 휴대전화 부정보다 죄질이 더 나쁘다. 답답하고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입건된 청소년을 포함해서 사이버 테러에 가담한 이들이 과연 범의를 가지고 있었을까. 그들의 행위가 엄청난 범죄 행위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을까. 간단히 대답하긴 어렵지만 일부를 제외하고는 아마도 익명의 댓글 올리는 정도로 생각했을 가능성이 크다. 약간의 일탈을 즐기는 정도였을지 모른다. '재미 삼아' 가수 비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했다가 적발된 청소년들의 경우와 유사할 것이다.
청소년들에게 장난과 범죄의 선을 분명히 알게 해야 한다. 사건이 터지고 수사와 처벌로 알아가는 교육이 아니라, 사전 교육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그것이 범죄인 줄 모르고 장난삼아 벌이는 일탈 행위가 적지 않다. 그러다 어쩌다 법망에 걸리게 되면 일생을 망친다.
냉정한 현실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인터넷 범죄는 익명성이 보호막이라도 되는 양 믿기 때문에 더욱 쉽게 빠져들 수 있다. 학교와 관계 당국은 인터넷 범죄에 구체적인 교육을 강화해서 청소년 보호에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