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조류인플루엔자)가 확산되면 금융회사 직원들의 대량 결근사태가 발생하고 텔레뱅킹이나 인터넷뱅킹 폭주로 결제시스템이 마비되는 등 금융위기 요인이 될 것이란 경고가 나왔다.
또 미국발 부동산 거품 붕괴가 전염효과를 통해 국내로 전파되고 하반기 이후 부동산 중과세가 적용되면 비인기지역 아파트를 중심으로 부동산가격이 하락할 가능성도 한국의 금융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금융감독원은 13일 '2006 금융리스크 분석' 보고서에서 올해 금융시장의 안정과 금융회사 건전성, 가계와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는 금융위기요인 13개를 처음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 당국이 선정한 올해의 금융위기 요인을 보면 대외적으로는 △AI 확산 △초대형 자연재해 △국제 고유가 지속 △미국 달러화 약세 반전 △국제금리 상승 △세계적 과잉 유동성 현상 지속 등 6개다. 또 대내적인 금융위기 요인으로는 △부동산 가격 하락 △원·달러 환율 하락 및 원화가치 상승 △주식시장 과열 가능성 △경제 양극화 △가계부채 부실화 △국내 금리 상승 △신종 금융사기 발생 등 7개가 선정됐다.
이 보고서는 "미국발 부동산거품 붕괴가 국내로 전파되고 올 하반기 부동산 중과세 조치로 국내 부동산값이 하락하면 건설경기 위축과 가계 부채상환능력 감소, 중소기업 부실을 초래할 것"으로 분석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