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남권 新공항' 국가적 안목 요구된다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영남권 시민들 공동의 숙제로 부상했다. 인천까지 가선 국제선을 타야 하는 영남인이 작년 5월 어느 일 주일 간만도 2만7천여 명에 이르렀다는 통계가 나와 있다. 앞으로 2010년까지 인천공항 이용으로 인해 발생할 영남권 주민들의 추가 통행 비용 부담액이 무려 7조2천억 원에 달한다는 예상도 나와 있다. 지난 5년 사이 대구공항의 국제선 이용객은 40배, 화물은 28배 늘었다는 보고도 있다.

그런데도 국가는 영남권의 새 국제공항 숙원을 모른 체 해 왔다. 여러 한계 때문에 기존 공항들의 확장이 불가능하지만 새 공항 건설에는 부정적 입장만 보여 왔다. 그러다 작년 10월 영남권 5개 광역 지방정부의 공동 요구를 받고야 겨우 제4차 국토 종합계획 수정 계획(2006∼2010)에 '필요성을 검토한다'는 정도로만 의견을 반영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영남권 수요에 맞추려면 늦어도 2020년까지는 신공항이 건설돼야 하며, 다음달 중 발표될 제3차 공항 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06∼2025)에 반영돼야 그게 가능하다고 했다.

대구에서는 지난 8일의 영남권 신국제공항 세미나에 이어 '영남 경제권 형성을 위한 토론회'도 14일 열렸다. 대구'경북의 경제 협력을 넘어 부산'울산'경남까지 아우르는 범영남 경제권 형성 논의로 진전되고 있는 것이다. 수도권 중심의 단핵적 국가 발전을 영남권 등 다핵으로 분산해야 한다는 오랜 명제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주목할 것은, 이제 영남권이 국내뿐 아니라 동북아 전체에서 경쟁력 있는 독자적 경제권을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신공항도 그걸 위해 필요하다. 교통 수요 중심으로만 공항 건설 필요성 여부를 판단할 계제가 아니다. 중앙정부가 바꿔야 하는 시각의 핵심이 이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