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뮤지컬 '캣츠 포에버' 오지숙씨

"대구후배들과 좋은 작품 만들어보고 싶어요."

뮤지컬 배우 오지숙(31)은 요즘 들떠있다. '고향 대구에서 국제적인 뮤지컬 페스티벌이 열리다니' 쉽게 믿기지 않는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당연하다는 생각도 든다.

언제부턴가 대구는 뮤지컬 배우들이 꼭 한번 공연해보고 싶은 곳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 그녀의 말.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하더라도 대구 관객들은 아마도 전국에서 가장 무뚝뚝한 관객들이었을 거예요. 얼굴에 웃음을 띄면서도 정작 환호하거나 박수는 아꼈죠."

그러나 이제는 확 달라졌다. 대구 관객만큼 작품을 깊이 이해하고, 열정적으로 배우를 반겨주는 곳도 없다.

사탕발림이 아니다. 무대에서 객석을 바라보고 있으면 그 도시의 문화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된단다. 그런 면에서 대구관객들의 높은 관람수준은 자신에게는 물론 동료 배우들에게도 인기가 높다.

오 씨는 19일 막을 내린 '캣츠 포에버'에서 귀부인 고양이 역(커버)으로 관객들로부터 뜨거운 박수를 이끌어 냈다. 뮤지컬 계에서 대구 출신의 배우들을 만나보기란 아직은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그녀는 지역 1세대 격이다. 오 씨는 지난 1998년 말 '광개토대왕'에 캐스팅 되면서 뮤지컬과 인연을 맺었다. '어린이 난타' '브로드웨이의 42번가' '못다한 사랑' 등 그 후로도 여러 작품에서 농익은 연기를 펼쳐왔다.

성화여고를 졸업한 오 씨는 단국대 연극영화과로 진학하면서 대구에 있는 시간이 줄었지만 오 씨의 거주지는 여전히 대구다. 서울과 대구를 오가면서 늘 가슴 한 구석을 아프게 한 것은 아직은 지방의 문화적 혜택이 크지 않다는 것.

"뮤지컬이라는 것을 대학교에 들어가서 처음 알았어요."

당연히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었다. 노래, 춤, 연기. 이 3박자를 두루 갖춰야 한다는 것이 마음에 들어 열심히 하긴 했지만 도통 방법을 알 수 없었다.

"첫 오디션 때였죠. 노래 악보를 구하지 못해 CD를 통째로 외웠어요. 지금 생각하면 참 우스운 일이죠."

지난해 10월 7일 무대에 오른 '캣츠 포에버'는 19일을 끝으로 모두 121회 공연을 마쳤다. 하지만 오 씨는 "관객들의 심금을 울릴 수 있는, 또 어떤 역할이 주어지든 최선을 다할 수 있는 배우로 기억되기 위해 아직은 배워야 할 것이 더 많다"며 "미뤄둔 공부를 마저 할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대구가 뮤지컬의 '메카'가 되는데 작은 도움이라도 주고 싶다고 했다.

뮤지컬 배우를 꿈꾸는 후배들에게 그녀는 "준비되지 않으면 기회가 와도 잡을 수 없다"며 "우선 걸음을 떼는 것부터, 그리고 그 열정을 끝까지 이어갈 수 있도록 마음을 다지는 의지가 중요하다"고 했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