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 경제통합은 정책 연대를 통한 경제구조의 보완과 상승효과로 2.56%의 추가적 총요소생산성(TFT: Total Factor Productivity) 증대 및 2만5천여 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분석됐다.
대구경북연구원 김용현 박사는 18일 "통계청의 지역내총생산, 총자본형성, 기초통계조사의 종사자 수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대구와 경북이 분리된 경제체제에서의 총요소생산성 증가(1995~2004)는 각각 1.94% 및 2.48%이지만 정책연대를 바탕으로 한 경제통합을 가정할 경우 총요소생산성이 추가적으로 2.56% 늘어나고, 이에 따라 2만5천여 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대구의 서비스업 생산 비중은 59.2%(전국 평균 47.7%)이고, 경북의 제조업 비중은 44.7%(전국 평균 27.5%)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기 때문에 이 같은 산업구조적 비교우위 특성을 고려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연대를 펼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2004년을 기준으로 볼 때, 대구의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와 1인당 투자지출은 전국 최하위(16위)이고 경북의 1인당 소비지출도 15위로 낮지만 대구경북 경제가 통합되면 1인당 GRDP와 1인당 투자지출은 8위, 1인당 소비지출은 11위로 상승하게 된다. GRDP와 소비, 투자 등 총액기준 여러 경제지표들도 대구경북은 서울과 경기도에 이어 전국 세 번째 수준으로 뛰어오르게 된다.
지역민의 생활수준 향상을 나타내는 최종소비지출 증가율(2001~2004)은 현재 대구와 경북이 각각 2.5% 및 2.4%로 전국 평균 3.4%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고, 대구의 총자본형성 증가율은 1.3%로 전국 평균 4.2%에 크게 미달할 뿐만 아니라 전국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 총요소생산성(TFT: Total Factor Productivity)은 기술발전,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자원배분 개선으로 설명되는 생산과정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의미한다. 대구경북 경제통합 효과는 외자유치 및 국채 프로젝트 수주 경쟁력 향상 등에 따른 자본, 인력, 기술 등 생산요소 추가 투입에 의한 생산성 증가 부문과 총요소생산성 증가 부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