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쓰시마분지'가 아니라 '울릉분지'

정부가 울릉도 및 독도 주변 바다밑에 위치한 '울릉분지'의 국제 공인을 추진함에따라 '동해'에 이어 또 다시 한국과 일본 사이에 지명표기를 둘러싼 갈등이 고조될 전망이다.

18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6월 21~23일 독일에서 열리는 국제수로기구(IHO) 해저지명소위원회에 '울릉분지' 표기 문제를 회의 안건으로 상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총 11명의 국제 해양전문가로 구성된 이 위원회는 IHO, 대양수심도위원회(GEBCO),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 등 해양관련 국제기관들이 발행하는 해저지형도에 표기할 지명을 결정한다.

울릉분지는 북위 36도52분~37도22분, 동경 130도~130도54분 사이에 위치한 해저분지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국내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왔으나 공식적으로는 해양지명위원회(위원장 해양조사원장)의 심의 및 의결을 거쳐 작년 12월7일에야 고시됐다.

정부는 또 국내에서 작년 같은시기 울릉분지와 함께 지정된 '이사부(울릉도를 신라에 귀속시킨 장수) 해산' 등 18개 우리말 울릉도.독도 인근 해양지명 가운데 일부에 대해서도 국제 등록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울릉분지의 경우 이미 일본식 지명 '쓰시마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어 한국이 공식 명칭 변경을 요구할 경우 양국간 치열한 공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IHO는 각종 해도 등에 사용된 명칭을 참고, 현재 공식 발간하는 국제 해저지명집에 해당 지형을 '쓰시마분지'로 표기하고 있다.

아직 한국측의 공식 일정과 입장 등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지만, 벌써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 신문은 이번 일본의 한국 배타적경제수역(EEZ)내 수로조사 계획의 한 배경으로까지 이 해저지명 국제회의를 거론하고 나섰다.

한편 양국은 '동해'의 표기를 놓고도 장기전을 펼치고 있다.

IHO는 지난 1929년 '해양과 바다의 경계'라는 책자 초판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뒤 1953년 발간된 3판까지 이 지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한국이 9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동해' 표기를 요구한 이후 현재까지 양국 입장이 첨예하게 맞서며 이 공식 명칭집의 개정 작업 자체가 중지된 상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