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외국인 생생 여행체험] 인도 문화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알렉산더, 징기즈칸, 히틀러는 영웅들이 아니고 세계 평화를 해친 범죄자들입니다."

라크쉬마나 고우다 교수는 다른 사람을 해치거나 괴롭히지 않는 마음을 갖는 것이 세계 평화의 기초라고 말했다. 인도는 10억이 넘는 인구에 공식적인 언어만도 14개를 사용하는 큰 나라지만 다양한 인종, 종교, 언어 등이 조화롭게 형성돼 인도만의 평화로운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고우다 교수는 "힌두교 경전인 '베다(veda)'는 언제나 모든 걸 받아들이고 자신의 주어진 환경에 만족할 것을 가르친다."며 "시바, 비쉬누, 브라만 등 3가지로 대표되는 신은 부처를 포함한 모든 신들을 존경하고 모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인도의 차별 풍습인 전통 '카스트(Caste) 제도'에 대해서도 한마디 했다. 예전에는 태어나면서 굳어진 신분이 있었지만 지금은 직업군에 따라 4계급으로 나뉘며 특별한 차별은 없다고 했다.

성직자 계급이었던 '브라만'은 이제 종교지도자, 교수 등 가르치는 직업이 해당하며 귀족 계급이었던 '크샤트리아'는 군인, 공직자 등 공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해당된다. 평민 계급 '바이샤'는 엔지니어, 회사원, 상인 등 일반적인 직장인, 자영업자이고 노예계급인 '수드라'는 하급 노동자, 가사 도우미 등 주인의 일을 도와주는 일을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런 분류는 오래된 관습처럼 굳어진 것이지 예전처럼 변치 않는 계급도 아니고 더 이상 차별의 근원도 아니다.

고우다 교수는 "한국도 불교, 기독교, 천주교 등 다양한 종교가 존재하고 직업에 따른 차별이 존재하겠지만 이것이 인간차별이 돼서는 안된다."며 "잘 살지 못하고 타인에게 존경받지 못하는 직업, 종교를 갖고 있다해도 누구나 행복할 권리는 타고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