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이강철·김두관 발언' 교감설 차단

청와대는 28일 열린우리당 정동영(鄭東泳) 의장의 '선거후 정계개편론'에 대한 친노(親盧) 직계인사들의 반발을 놓고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교감'여부가 거론되는 데 대해 "사실무근"이라며 확대해석을 차단했다.

최근 민주당과의 통합문제를 제기한 정동영 의장에 대해 연이어 "정치적 꼼수" "당을 떠나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한 이강철(李康哲) 대통령 정무특보와 김두관(金斗官) 당 경남도지사 후보가 공교롭게도 전.현직 대통령 정무특보라는 점에서 이들 발언이 '대통령 의중이 실린 것 아니냐'는 분석이 여권내에서 나왔다.

그러나 청와대측은 이들의 발언을 '노심(盧心)'과 연결짓는 것을 단호하게 경계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정무특보 자격이 아니라 선거과정에서 정치인 개인으로서 소신을 피력한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한 관계자는 "최근 정치현안에 대해 청와대 내부 논의가 있었거나, 대통령이 입장을 피력한 적이 없다"고 전했다.

정무 현안에 대한 당.청 분리 원칙이 견지되고 있고, 지방선거를 중립적이고 공정하게 관리해야 하는 만큼 선거나 당내 정치현안에 대한 노 대통령의 입장 표명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오히려 "민주당과의 통합론 얘기가 나오게 되면 영남쪽 분위기가 가라앉기 때문에 영남에서 선거를 치르는 사람들의 정서를 반영한 것 아니겠느냐"고 말해 여권내 '갈등'보다는 선거 전략 차원의 발언으로 해석하는 기류도 있다.

하지만 노 대통령은 그동안 열린우리당 '창당 초심'을 거론하며 민주당과 통합론에 반대 입장을 피력해왔던 만큼 두 사람의 발언을 '개인적 견해' '선거용 발언'으로만 치부할 수 없다는 해석도 있다.

노 대통령은 통합론이 제기되던 지난해 11월14일 당 지도부 초청 만찬에서 "창당 초심으로 돌아가는 것이 시대정신"이라고 말했고, 올해 연두회견때는 "경쟁이 없으면 지방 정치는 후퇴할 수밖에 없다"며 통합론 반대입장을 피력했다.

문재인(文在寅) 전 청와대 민정수석도 지난 15일 부산 언론 간담회에서 "(합당은) 호남에서 또 하나의 일당구조가 돼버리니까 대통령은 반대"라며 노 대통령의 뜻을 재확인한 바 있다.

이는 이강철 특보 등의 발언이 '노심'과 일맥상통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의 근거가 되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과거 대통령이 창당 초심에 대한 원칙적 입장을 밝힌 것을, 현재 여권내에서 제기되는 정계개편 등 정치현안에 대한 입장으로 연결하는 건 곤란하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여권내 정치적 논란에서 비켜있다는 청와대측의 설명에도 불구, 여당의 선거 참패 전망이 현실화될 경우 패배 원인, 처방 등을 둘러싼 당내 논쟁속에서 대통령 탈당, 당.청 관계 재정립 문제가 정계개편론과 함께 불거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선거후 청와대의 태도가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선거후 정계개편론이 당 지도부와 친노(親盧) 직계그룹간 논쟁으로 비화된 것은 선거후 여권 진로를 둘러싼 논쟁의 구도를 보여주는 전조(前兆)라는 해석이 적지 않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