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도 멸종위기 조류 대거 서식

4계절 첫 정밀조사…조류 107종·식물 49종·곤충 93종 확인

독도에 멸종위기종 1급과 2급 조류를 포함한 조류 107종과 식물 49종, 곤충 93종 등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4월부터 지난 2월까지 10개월간 국립환경과학원 생태 조사단과외부 전문가 등 21명이 참여해 4계절 9개 분야에 걸친 사상 첫 독도 자연생태계 정밀조사를 실시, 29일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독도에는 멸종위기종 1급인 매, 2급인 벌매, 올빼미, 솔개, 뿔쇠오리, 물수리, 고니, 흑두루미 등 8종을 비롯, 괭이갈매기 1만여 개체, 바다제비 600여 개체가 서식하고 있다.

조류의 경우 검은댕기해오라기와 중대백로 등 26종이 추가로 관찰돼 서식 조류가 전체 107종으로 나타났고 이중 개체수가 많은 것은 괭이갈매기와 바다제비, 슴새(50개체) 등 순으로 파악됐다.

식물은 울릉도 특산식물인 섬장대를 포함, 도깨비쇠고비 등 49종이 관찰됐으나독도의 지형 및 기상 조건이 식물 생육에 적합하지 않아 육상에 비해 다양성이 다소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중 '번행초'는 울릉도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독도에서만 발견돼 독도의 식물정착이 울릉도와는 별개로 이뤄졌음을 시사하고 있고 49종중 19종이 자생종이 아닌외부 유입종 또는 식재종으로 드러나 외부 유입종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곤충중 가장 많은 종은 딱정벌레 목으로 22종이 확인됐고 나비 목과 파리 목이각각 17종, 노린재 목과 매미 목이 각각 10종, 벌 목이 9종으로 나타났다. 포유류는 작년 10월과 지난 2월 2차례 조사가 이뤄진 결과 낫돌고래 무리만 관찰됐을 뿐 과거 서식하던 바다사자와 물개 등이 서식하지 않아 해양 포유동물이 번식지나 계절적 이동경로로만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해조류는 모두 160종으로 이중 동도에서 발견된 것은 녹조류 17종, 갈조류 52종, 홍조류 90종이며 서도는 녹조류 13종, 갈조류 26종, 홍조류 46종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향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을 연 1회에서 2회로 늘리고 매 5년마다 4계절 정밀조사를 실시, 생태계 변화 추이를 분석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생태계 조사는 지난해 3월 독도입도 규제 완화 조치와 더불어 생태계 보전차원에서 시작됐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