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를 중심으로 대형 인명 피해를 불러오는 지진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나라 철도 교량과 터널도 절반가량이 지진에 취약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국회 건교위 이낙연 의원에게 제출한 '철도 터널 및 교량내진 성능평가'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철도 교량 503곳 중 286곳(56.85%)이 지진에 취약해 내진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 철도 터널 149곳 중 40곳(26.85%)도 지진에 취약해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시설공단은 작년 9~12월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에 용역을 의뢰해 전국의 철도 교량 503곳과 터널 149곳에 대한 내진 성능평가를 실시했다.
한국시설안전공단은 성능평가에서 철도 교량과 터널을 시급히 내진 보강이 필요한 A등급과 내진보강이 필요한 B등급, 관찰이 필요한 C등급,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 D등급 등 4개 등급으로 분류했다.
A, B 등급을 받은 교량과 터널은 지진 발생시 붕괴 및 뒤틀림 등의 위험이 있으니 궁극적으로 내진보강이 필요하다고 공단은 지적했다.
조사 결과 철도 교량 81곳(16.1%)이 A등급을 받았고 B등급도 205곳(40.8%)이나 돼 60%에 가까운 철도 교량이 내진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A등급에는 경부선 용산-노량진 한강C선과 구로-시흥 구로고가철도교 등도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터널의 경우 5곳(3.36%)이 A등급을 받았고 B등급은 35곳(23.49%)이었다.
A등급에는 경부선 황간터널 상하행선과 중앙선 치악터널, 금대2터널, 대강터널 등이 포함됐다.
이낙연 의원은 "최근 국내외에서 지진발생 빈도가 늘어나고 있고 강도 또한 커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철도 교량과 터널에 대한 내진설계가 돼 있지 않아 지진발생 시 대규모 피해가 예상된다."며 "시급히 내진보강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건교부 관계자는 "대규모 지진에 대비해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을 대폭 강화하고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교량 등에 대해 2010년까지 보강작업을 완료하기로 하는 등 각종 안전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