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재단 正常化(정상화) 문제는 학교로서뿐 아니라 지역과 관련해서도 중차대한 화두다.
1988년 재단 부정과 입학 비리 등으로 이사진이 전원 사퇴한 후 1989년부터 시작된 임시이사체제가 지금 그 정상화를 위한 큰 갈림길에 서 있다.
그동안 散發的(산발적)으로 물밑에서 논의만 되었던 임시이사체제인 대학의 재단정상화는 여·야 정치권은 물론 교육부에서도 정상화 시킬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여 일단은 재단정상화의 호기를 맞았다.
내년이면 개교 60주년을 맞이하는 영남대는 59년전 설립된 재단법인 대구대학과 56년전 설립된 청구대학의 통합으로 탄생됐다.
1945년 10월 대구의 유지 30여명이 대학설립을 추진, 같은 해 11월 도내준비위원회가 만들어졌고 99명이 참여하는 경북종합대학기성회가 구성됐다. 1946년 8월에는 개교준비위원회가 구성됐고 1946년 11월 27일 5개 단과대학으로 대구국립종합대학 설립인가를 당시 미군정청에 신청했다.그러나 당시 國大(국대)안 반대 동맹휴업바람으로 이미 설립된 3개 단과대학 참여가 여의치 않아 1947년 대구문리과대학으로 개교를 하게 됐다.
이어 8월 21일 다수결로 교명을 대구대학으로 정했고 사립 재단법인(이사장 정해붕) 형태로 출발하게 됐다. 당시 정부수립이 안 된 상태에서 도내 篤志家(독지가)들에 의한 자발적인 대학 설립은 참으로 대단한 일이었다.
청구대학은 1949년 8월 경북포화조합이 이사회를 개최, 설립을 결의하고 조합 재산을 기부하기로 하면서 태동됐다. 1950년 3월 재단법인 청구대학 창립총회가 소집됐고 같은 해 4월 25일 문교부 인가를 받았다(초대이사장 정종수).
그러나 두 대학은 6.25와 국립대 편입파동을 겪으면서 위기를 맞게 된다. 당시 경북대학교의 설립으로 국대 편입문제가 생겼고, 많은 학생들이 경북대로 적을 옮기기도 했다. 또 5.16후 제정된 사립대학정비기준에 따라 定員減縮(정원감축) 여파도 있었지만 시련은 곧 극복됐다. 1967년 12월 대구대는 이사진의 개편과 종합대학으로의 전환을 추진, 영남대가 탄생했다.
청구대학은 1966년 10월 효목동캠퍼스에서 시설 확충작업을 하다 불행히도 5층 건물이 무너지는 사태가 일어나 큰 인명피해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학교측은 비상대책위를 구성하고 이후락 청와대 비서실장을 통해 사태수습을 도모해 1967년 8월 박정희 전 대통령의 愛國精神(애국정신)을 교육이념과 교시로 채택, 대학 회생의 발판을 마련했다. 두 대학은 39년전 통합돼 영남대의 오늘을 있게 했다.
영남대가 임시이사 체제로 대학이 오히려 퇴보하였다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대부분의 대학 구성원은 민주적인 체제의 영남대를 옹호했던 측면도 있다. 그 공과는 시간이 더 흘러간 후 평가를 해야 하겠지만, 아무리 임시이사체제에서 대학의 문제점이 노출되지 않았다고 해서 이 체제를 영구히 가져갈 수는 없다.
재단정상화를 추진하는 시점에서 구성원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고 그 방식 선택에도 많은 난관이 있다. 현재 제시된 어느 방안도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상대적으로 영남대의 출생과 관련된 문제도 해결하면서, 앞으로 대학의 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그 방안은 시민대학일 수도 있고, 대기업주도의 재단 또는 법인화된 국립대 형태일 수도 있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재단정상화가 영남대의 구성원만으로 해결될 일은 아니라는 점이다. 대학이 사회에 기여하는 公益的(공익적)인 측면과 또 이 지역사회에 끼친 그 동안의 영남대의 역할과 기능을 고려할때 이 문제는 시·도민들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라는 점이다. 대구대학과 청구대학을 설립한 분들도 그 뜻을 잘 살릴 수 있도록 영남대의 재단정상화를 도와주셔야 할 것이다.
그동안 영남대는 지역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으로 이 자리에 서 있을 수가 있었다. 영남대가 누구 소유이냐를 떠나 시·도민의 관심속에서 자랐기 때문이다.
이같은 인식을 토대로 시·도민들이 재단정상화에 적극 관심을 가질때 영남대는 임시이사 체제를 탈피해 단단한 盤石(반석)위에 새로 서는 재단정상화의 길을 갈 수 있을 것이고 대학발전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황평(영남대 교수회 의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