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년간 피아노 제작과 수리에 인생을바쳐온 한인이 과거 300년간 누구도 꿈꾸지 못했던 혁명적인 방식의 피아노를 개발해 화제다.
세계 피아노계의 판도를 단숨에 뒤바꿔놓을 것으로 기대되는 화제의 주인공은 로스앤젤레스에서 한미피아노를 운영하고 있는 김종칠(56.미국명 존 김)씨.
지난 1987년 단돈 1천 달러를 들고 미국으로 건너와 1천만 달러 이상의 재산을 일구며 '아메리칸 드림'을 실현시킨 입지전적인 인물로 한인 사회에 널리 알려진 김씨는 피아노 수리를 시작한 이후 38년간 단 한순간도 개발의 의지를 놓치 않는 '장인 정신'을 간직했기에 역사를 바꿀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는 힘이 '액션(Action)' 파트를 거쳐 해머가 현을 때려 소리를 내는 악기인데, 김씨는 해머가 현을 때리고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이 액션 파트의 여러 부품 가운데 핵심이면서 늘 말썽을 일으키는 스프링과 철사, 실, 끈에 주목했다.(그래픽 참조) 습기와 염도에 쉽게 반응하는 이들 부품은 녹이 슬거나 장력(張力)을 잃어 제 소리가 나지않게 하는 주원인이었고 철사나 스프링은 잦은 연주에 늘어져 연주자의 손가락에 느리게 반응했으며 각 부품을 고정시키는 실이나 끈은 쥐가 갉아먹기도 하는 등 소비자들이 적지않은 수리비를 감당해야 하는 골칫거리였던 것.
나이를 감안한 '건반 무게 조절기',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는 '소음장치' 등도 개발했던 김씨는 한평생 고민해왔던 이 문제의 해결책을 짜내기 위해 밤낮없이 몰두했고 마침내 자석을 이용, 습도와 염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아무리 오래 쳐도 원음이 유지될 수 있으면서 간편한 피아노 제조법을 완성시킨 것.
특히 이 방식을 이용할 경우 세부 부품 제작에 드는 인건비가 들지 않게 돼 전체적인 피아노 제작비를 30% 이상 대폭 줄일 수 있어 싼 값에 고급 피아노 공급이 가능하고 소비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조율 이외의 수리비용은 거의 생각치 않고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다.
김씨는 지난달 3일 일본 특허청에 실용신안 특허를 신청했고 곧 OEM방식으로 피아노를 제작해 앞으로 2년 이내에 시판하겠다는 각오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