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00년 역사의 피아노에 혁명 일으킨 한인 '화제'

철사.스프링 대신 자석..제작비 30%절감,수리 걱정끝

38년간 피아노 제작과 수리에 인생을바쳐온 한인이 과거 300년간 누구도 꿈꾸지 못했던 혁명적인 방식의 피아노를 개발해 화제다.

세계 피아노계의 판도를 단숨에 뒤바꿔놓을 것으로 기대되는 화제의 주인공은 로스앤젤레스에서 한미피아노를 운영하고 있는 김종칠(56.미국명 존 김)씨.

지난 1987년 단돈 1천 달러를 들고 미국으로 건너와 1천만 달러 이상의 재산을 일구며 '아메리칸 드림'을 실현시킨 입지전적인 인물로 한인 사회에 널리 알려진 김씨는 피아노 수리를 시작한 이후 38년간 단 한순간도 개발의 의지를 놓치 않는 '장인 정신'을 간직했기에 역사를 바꿀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는 힘이 '액션(Action)' 파트를 거쳐 해머가 현을 때려 소리를 내는 악기인데, 김씨는 해머가 현을 때리고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이 액션 파트의 여러 부품 가운데 핵심이면서 늘 말썽을 일으키는 스프링과 철사, 실, 끈에 주목했다.(그래픽 참조) 습기와 염도에 쉽게 반응하는 이들 부품은 녹이 슬거나 장력(張力)을 잃어 제 소리가 나지않게 하는 주원인이었고 철사나 스프링은 잦은 연주에 늘어져 연주자의 손가락에 느리게 반응했으며 각 부품을 고정시키는 실이나 끈은 쥐가 갉아먹기도 하는 등 소비자들이 적지않은 수리비를 감당해야 하는 골칫거리였던 것.

나이를 감안한 '건반 무게 조절기',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는 '소음장치' 등도 개발했던 김씨는 한평생 고민해왔던 이 문제의 해결책을 짜내기 위해 밤낮없이 몰두했고 마침내 자석을 이용, 습도와 염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아무리 오래 쳐도 원음이 유지될 수 있으면서 간편한 피아노 제조법을 완성시킨 것.

특히 이 방식을 이용할 경우 세부 부품 제작에 드는 인건비가 들지 않게 돼 전체적인 피아노 제작비를 30% 이상 대폭 줄일 수 있어 싼 값에 고급 피아노 공급이 가능하고 소비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조율 이외의 수리비용은 거의 생각치 않고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다.

김씨는 지난달 3일 일본 특허청에 실용신안 특허를 신청했고 곧 OEM방식으로 피아노를 제작해 앞으로 2년 이내에 시판하겠다는 각오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