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에 퍼클로레이트가 발견된 지 한 달. 그러나 정부가 퍼클로레이트 배출 가이드라인과 먹는 물 기준치 선정은 물론 인체 유해성 여부마저 가리지 못하는 등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시민들의 불안감만 커지고 있다.
환경부는 1일 오후 대구시·경북도 관계자와 환경부 자문위원, 국립 환경과학원 연구원들의 의견을 모아 국내 퍼클로레이트 배출 가이드라인과 음용수기준치를 마련할 계획이었으나 논란만 거듭한 채 견해차이를 좁히지 못해 결국 가이드라인 선정을 연기한다고 2일 밝혔다.
환경부 한 관계자는 "현재 퍼클로레이트에 대한 국내연구가 전무해 대부분 미국의 문헌에만 의존하는 등 국내상황과의 연관성에 한계가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고 전했다. 또 그는 "낙동강 퍼클로레이트 측정도 단 세 차례 밖에 하지 않아 객관성이 떨어져 좀 더 시간을 갖고 충분한 자료수집 뒤 기준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수돗물에 함유된 퍼클로레이트의 인체 유해성 여부와 관련, 참석자들은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퍼클로레이트 관련 임상시험은 국내외를 통틀어 거의 없고 있더라도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단기간 한 것이어서 참고할만한 가치가 없는 등 유해하다, 하지 않다를 확정하기가 현재로선 곤란하다."고 했다.
때문에 "퍼클로레이트가 시민들이 마시는 수돗물에서 다량 검출됐는데도 20여 일 동안 쉬쉬해 늑장발표 한데 이어 가이드라인조차 결정 못하는 등 시민건강을 외면하는 것 아니냐."는 며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시민 강용욱(34·대구 달서구 용산동) 씨는 "환경부 공무원들이야 당연히 낙동강 물을 마시지 않는 탓에 태연할 수 있으나 당장 낙동강 물을 마셔야 하는 대구시민들에게는 생명과 직결된 사안이어서 기가 막힐 따름"이라 한탄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관계자도 "하루빨리 먹는 물 기준치와 배출 가이드라인을 정해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며 "대책 마련이 늦으면 늦을수록 수돗물 불신이 더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측은 1일부터 퍼클로레이트를 먹는 물 자체 감시항목으로 지정하고 대구시 상수원 상류인 왜관철교와 성주대교에 퍼클로레이트 배출 가이드라인을 8㎍/ℓ로 정해 매일 감시·감독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성철 대구시상수도본부장은 "언제까지 환경부의 결정만 기다리고 있을 수 없어 시가 환경부에 요구한 8㎍/ℓ를 자체 가이드라인으로 정해 관리중"이라며 "퍼클로레이트에 대한 먹는 물 수질기준 및 수질오염물질·특정수질 유해물질 조기설정과 낙동강 수계 취수장 이전문제도 계속해서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