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 수유의 진정효과는 젖을 뗀 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연구팀은 모유를 먹고 자란 어린이들은 부모의 이혼 등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 분유를 먹고 자란 어린이보다 더 잘 대처한다고 의학저널 '아동질병기록'을 통해 3일 밝혔다. 이 연구를 주도한 스콧 몽고메리 박사는 "모유 수유 어린이들에서는 부모의 이혼, 별거 등과 아동기 의 불안간에 상관성이 적었다"고 말했다. 몽고메리 박사팀은 모유와 분유를 각각 먹고자란 10세 어린이들이 부모의 결혼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어린이들의 불안을 0-5 0점 점수로 평가했다. 그 결과, 모든 어린이들이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았으나 모유 수유 어린이들이 분유를 먹고자란 어린이보다 더 잘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몽고메리 박사는 "모유 수유 어린이에게서 불안 증세가 훨씬 덜 뚜렷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모유 수유 어린이에게서 불안증세가 덜한 이유는 아직 모르지만 ▲모유 수유가 제대로 된 부모 역할을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고 ▲어머니와 아이의 신체적 접촉이 불안을 줄이는데 도움이 됐을 수도 있다고 시사했다. 이와함께 모유 수유가 스트레스 반응과 연계된 인체 경로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런던로이터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