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방사능대인 '밴 앨런대'를 발견했고 우주탐사의 선구자로 꼽히는 미국 물리학자 제임스 A 밴 앨런이 9일 숨졌다. 향년 91세.
1914년 9월 7일 아이오와주 마운트 플레즌트에서 태어난 밴 앨런은 아이오와 웨슬리언 컬리지를 거쳐 아이오와주립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뒤 50여 년간 연구하면서 초기 소형 로켓과 풍선에서 행성탐사 우주선까지 수십 가지 비행체에 사용되는 과학장비들을 설계했다. 그는 1950년대 말 그가 만든 장비가 미국의 첫 인공위성인 익스플로러 1호에 실려 지구 주위에서 강력한 방사능대를 발견함으로써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방사능대는 그의 이름을 따서 '밴 앨런대'로 명명됐다.
밴 앨런대 발견은 현재 전 세계 20여 개국 1천여 명의 학자들이 연구하는 지구자기권 물리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등장으로 이어졌고 이 발견으로 미국은 옛 소련과의 우주경쟁에서 한발 앞서 나갈 수 있는 힘을 얻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1987년 그에게 최고의 업적을 남긴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미국과학훈장을 수여했으며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는 1989년 그에게 노벨상이 없는 분야의 뛰어난 과학연구에 수여하는 크로포르드상을 수여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