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건설노조 집행부 노사합의안 거부

포항건설노조 투쟁본부는 12일 전문건설협회와 노조측 대표단간의 임단협 합의안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투쟁본부는 이날 오전 노사 양측이 합의한 임단협 내용을 두고 이날 오후 대책회의를 가진 끝에 "합의안이 아니라 사측의 최종안"이라고 주장하며 노조측의 요구안 수용이 상당부분 미흡하다는 이유로 합의안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12일 오전 파업 44일만에 극적으로 타결됐던 포항건설노사 임단협 협상이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사태가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

노조는 이와관련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갖고 "포스코의 불법대체인력 투입으로 촉발된 농성사태와 대량구속, 경찰과 충돌로 인한 부상자 발생, 고 하중근씨 사망 등 급박한 상황속에서 노조는 문제를 대화와 교섭으로 풀기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주장했다.

이와함께 "이날 사측이 제시한 최종안은 노조를 완전히 무력화시키려는 것에 다름 아니다"며 "이번 안이 노조가 요구해 온 주 5일를 거부한 채 아무런 내용도 없이 오히려 기존의 단체협약을 더욱 개악시키는 것이며 이는 결국 건설노동자와 노조에게 죽으라고 하는 소리와 마찬가지로 수용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이번 안을 거부하는 것이 향후 모든 교섭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시 새로운 교섭을 통해 노조의 상식적이고 소박한 요구가 받아들여지길 바라며 사측과 노동부를 비롯한 국가기관의 전향적인 자세를 다시한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투쟁본부의 이같은 결정은 파업기간 노조가 요구해 온 구속근로자 58명 석방과 포스코 손배소 철회, 파업참가 노동자의 신변보장 등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파업철회를 할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대해 사측 교섭대표인 전기협의회 진명주 사무국장은 "노조측 교섭단의 협상내용을 집행부가 승인해야 하지만 이는 순전히 절차상의 문제"라며 "노조를 대표한 교섭단이 사용자측과 장시간 협상끝에 잠정합의안을 이끌어 박수치고 악수까지 한 상태에서 집행부가 전체 노조원의 의사를 무시한 채 거부하는 것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상자체를 무시하는 상식밖의 일"이라고 말했다.

진 국장은 또 "집행부가 합의안을 거부해 또다시 교섭을 할 경우 양측의 협상대표가 상당수 교체돼야 하는데다 협상자체도 다시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시일이 많이 걸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포항건설노사는 11일 오후 7시부터 노동부 포항지청 회의실에서 사용자측 15명(목공분회 6명 포함)과 노조교섭단 대표 7명이 10시간에 걸친 마라톤 협상을 벌여 임금 평균 5.2% 인상과 토요근무 할증 강화 등 6개항에 잠정 합의했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