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10년 이후 추진"…동남권 신공항 건설 '빨간불'

국토 동남권의 획기적 발전을 위한 인프라 구축 차원에서 대구·경북을 비롯한 부산, 울산, 경남 등 영남권 자치단체들과 경제계 등이 강력하게 추진하는 동남권 신공항건설이 벽에 부닥쳤다.

정부가 동남권 신공항건설을 오는 2010년 이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정함으로써 조기건설이 어렵게 됐다는 전망이 나온 것.

2010년 이전에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영남권 지자체들과 경제계는 정부의 입장에 반대입장을 나타내며 공항이 이른 시일 내에 건설될 수 있도록 정부 상대로 총력전을 펼 방침이다.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윤두환(울산 북)의원은 28일 건설교통부 자료를 토대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은 기존 공항의 시설용량을 감안해 경부 고속철도 대구 이남 구간이 개통되는 2010년 이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검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건교부의 이 같은 입장은 사업의 조기 추진과는 거리가 먼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 7월 추병직 건교부 장관이 대구·경북을 포함한 5개 시·도 상공회의소에 약속한 말을 번복한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추장관은 이인중 대구상공회의소 회장과 당시 박병웅 경북상공회의소협의회장을 비롯, 영남권 5개 상의회장들과의 면담에서 신공항 건설과 관련 "내부검토를 거쳐 늦어도 2010년까지 구체적인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정부의 2010년 이후 동남권 신공항 건설추진 입장에 대해 폭증하는 동남권의 항공수요와 지방발전을 고려하지 않은 처사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동남권 신공항 건설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정부에 수차례 알렸으나 2010년 이후에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안타깝다."며 "아직 명확한 지침을 통보받지 않은 만큼 공항의 조기 건설을 위해 계속 노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대구시는 경북도 등 영남권 5개 광역단체 관계자들간 실무협의를 갖고, 동남권 신공항 건설에 대한 지자체들의 입장을 정리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영남권 상공회의소 등 경제계도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동남권 주민이 연평균 174만 명에 이르러 지난 해 2천900억 원의 추가비용이 들었고 동남권 항공화물의 99%가 인천공항을 통해 이뤄지는 실정을 정부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제계 인사들은 "동남권은 국내 제 2의 경제권역이지만 중추공항이 없어 역외 공항 이용에 따른 불편과 경제적 손실이 가중되고 있다."며 "신공항 건설은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한 국토의 권역별 핵심사업의 하나로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재성·이대현·박상전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