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대구지방법원 구속사건 수임 순위 10위 안에 든 개인변호사의 84%가 판·검사 출신의 전관인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노동당 노회찬 의원이 전국 18개 지법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4년부터 올해 6월까지 대구지법에서 구속 사건 수임순위 10위 안에 든 개인변호사 25명 가운데 전관 출신은 21명에 달해 84.5%를 차지했다.
노 의원은 이같은 비율은 수원과 서울, 의정부 다음으로 '전관예우 특별 관리대상'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노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지방법원 별 구속사건 수임 순위 10위 안에 든 개인변호사의 70% 가량은 판·검사를 지낸 전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원지법은 수임 상위권 개인변호사 18명 전원이 전관 출신이었고 서울서부지법은 24명중 23명(96%), 서울북부지법은 22명중 20명(91%), 의정부지법은 30 명중 27명(90%)이 전관 변호사였다.
전관 변호사 비율이 80% 이상인 지방법원 9곳 가운데 대구지법을 제외한 8곳은 수도권 소재인 것으로 조사돼 지방보다 수도권의 전관 예우가 더 심했다고 노 의원은 지적했다.
또한 수임 상위권 전관 변호사 305명의 94%(287명)는 퇴임 후 최종 근무지에서 개업했으며 3년 연속 수임 순위 10위 안에 든 개인변호사 28명 중 27명이 전관 변호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 의원은 또 법무부가 최근 비리 혐의로 6개월 업무정지 조치를 내린 비리 변호사 7명중 3명이 지법별 수임 랭킹 10위안에 들었다고 밝혔다.
최정암기자 jeonga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與 '더 센 특검법' 법정 녹화 원칙…법원조직법 '정면 배치'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