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기가 못 자요"…기찻길 옆 아파트 소음 '심각'

철도변 정비사업을 전제로 대구도심을 통과하는 경부고속철 구간의 지상화 사업 기본계획안이 나오자 통과구간 인근주민 중 철도변 정비사업에 자신들의 동네가 편입되지 않은 일부 지역민들이 반발, 갈등이 일고 있다.

또 지상화사업 추진과정에서 대구 중구, 서구, 북구 등 철도를 끼고 있는 다른 지역 주민들 역시 같은 이유로 민원을 제기할 가능성이 커 오랜 논란 끝에 결정된 지상화 사업이 마찰음을 낼 우려를 안고 있다.

철도와 아파트 사이 거리가 6m에 불과한 대구 동구 신천동 송라아파트(174가구, 800여명 거주). 13일 이 곳 관리사무소 앞 마당에서 대구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주민 설명회는 대구시와 공단에 대한 성토의 장으로 변했다.

기차소리로 10년 넘게 고통받아 왔다는 주민 이정희(50·여) 씨는"철도변 정비사업에서 우리 아파트가 제외될 경우 고속철 소음까지 감내해야 하는데 이는 우리더러 죽으라는 소리와 같다."며"현재도 수면 장애를 일으킬 정도로 소음을 견디기 힘든데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고 발끈했다.

자신을 고속철대책위원회 위원장이라 밝힌 주민 윤맹호씨는"당초 '정비사업에 우리 아파트가 편입된다.'기에 고속철 통과 구간 지상화에 찬성한 것"이라며 "정비사업 계획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철도변 정비사업(구간 11.5㎞) 기본계획안에서 인근 대형건물을 그대로 둔 채 정비사업을 진행한다는 원칙을 확정해 주민들과의 갈등 해결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박영서 철도시설공단 설계부장은"아직 설계안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이 아파트 인근 구간은 현재 철도부지 내에서 철도를 깔 계획이므로 현재로선 사업계획 구역에 포함된다고 말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경부고속철 구간 대구도심 통과 방안은 기본계획안만 나와 있는 상태며 결정된 사항은 고속철 지상화, 총 사업비(본선사업비 6천478억 원, 철도변 정비사업비 6천 629억 원), 사업기간(2010년 완공) 뿐이다. 오는 12월 말 기본계획이 확정되고 난 뒤 실시설계에 들어갈 예정.

조영성 대구시 정책개발담당관실 정책 3팀장은"주민들이 요구하는 방안을 빠짐없이 수용해 정부와 시설공단에 건의한다는 것이 시의 기본방침"이라 밝혔다. 그는 "하지만 철도변 대형 건물은 사업에 편입시키지 않는다는 정부와 시설공단의 원칙상 현재 민원을 제기하는 주민들의 요구가 수용되긴 힘들 것"이라고 언급, 갈등 확산을 예고하고 있다.

채정민기자 cwolf@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