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조직개편, '흐지부지' 되나?…반대의견 우세

정체된 대구시 공무원사회에 새 바람을 불어넣기 위해 김범일 시장이 취임 초부터 강력하게 추진해온 대구시 조직개편이 유야무야로 끝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김 시장을 비롯한 실·국장 등이 참석한 간담회에서 경제산업국과 과학기술진흥실을 통합한 경제통상본부 신설 등 조직개편의 주요 내용에 대한 반대의견이 우세해 개편작업이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

김 시장이 취임 직후부터'일하는 공직사회'를 만들기 위해 조직개편이 필요하다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강조함에 따라 2실, 8국, 1본부, 1단 체제인 대구시조직에 대한 대수술이 점쳐졌다. 또 조직개편용역을 맡은 대구경북연구원의 시안과 대구시장직 인수자문위원회의 건의도 조직개편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그러나 시 고위간부들의 회의결과에서는 경제산업국과 과학기술진흥실을 합친 경제통상본부 신설은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대구시 관계자는 "경제산업국은 산업지원 기능, 과학기술진흥실은 미래 성장동력 발굴로 업무가 서로 다른데다 두 실국을 합칠 경우 업무가 너무나 과중해짐에 따라 이 안은 시행이 어렵다는 얘기가 많았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경제산업국과 과학기술진흥실을 합칠 경우 업무가 폭주, 본부장 한 사람이 맡기가 어려울 것"이라며 "또 국·실장-본부장-부시장-시장 등으로 결재라인이 늘어남에 따라 옥상옥(屋上屋)이 될 우려가 높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과감한 조직개편과 외부인사 수혈을 통해 정체된 공직사회에 새 바람을 불어넣겠다던 김 시장의 공약이 취임 석 달 만에 헛구호에 그칠 우려가 있다."며 "경제살리기에 초점을 맞춘 조직개편이 흐지부지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행정자치부 등 중앙 부처들이 도입한 팀제 도입도 이번 조직개편에서는 빠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앙부처의 경우 팀당 인원이 15명인데 반해 대구시 각 과를 팀으로 만들 경우 팀당 인원이 30~40명씩에 달해 팀장이 결재하기조차 힘들 것이란 우려에 따라 팀제 도입이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는 것. 보건복지국 강화, 국간 업무조정 등의 조직개편안은 당초대로 추진될 전망이다.

조직개편이 지지부진한 대구시와 달리 경북도는 최근 경제통상본부 신설, 팀제 및 3개 본부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대현기자 sk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