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재개발 업무 대행비는 "부르는 게 값?"

'재개발·재건축 업무 대행비는 부르는 게 값'

대구시가 지난 6월 지역 273개 노후 주택가에 대한 도시정비 기본계획 발표 이후 재개발·재건축이 붐을 이루면서 사업을 대행해주는 정비업체들의 '업무 수수료'가 단지별로 큰 차이를 보여 적정 가격을 둘러싼 '폭리' 논란이 일고 있다.

도시정비 기본계획 발표 이후 지난달까지 대구 지역에서 시공사를 선정한 재개발·재건축 단지는 30여 개에 이르고 있으며 각 단지별로 계약을 맺은 정비업체들이 받는 '수수료'가 평당 5만 원에서 15만 원까지로 3배 이상 차이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업체 관계자들은 "기본계획 발표 이후 재개발·재건축 추진위원회가 한꺼번에 구성되고 8월 한 달 동안만 30여 개 단지가 시공사를 선정하면서 일부 정비업체들이 높은 수수료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난해는 물론 타지역보다 계약 단가가 많이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실제 정비업체 협회가 정한 업무대행비는 평당 5만 2천 원 정도지만 협회 가격 수준에서 계약을 맺은 단지는 10여 개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상당수 업체들이 평당 6만 원 이상에 '업무 수수료' 계약을 맺었으며 남구와 북구 지역 일부 재개발·재건축 단지는 수수료가 평당 10만 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일부 단지는 평당 수수료 계약 없이 전체 사업비의 2~3%를 수수료로 받는 계약을 맺어 논란을 사고 있다.

지역 정비업체 한 관계자는 "전체 사업 면적이나 사업성에 따라 수수료가 차이를 보이고 정비업체가 선투자를 해야되는 탓에 위험성이 뒤따르지만 적정 수수료는 전체 사업비의 1% 선"이라며 "재개발·재건축이 한꺼번에 진행되고 조합이나 추진위가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사업 추진을 빨리 하기 위한 시공사 선정에만 매달리다 보니 정비업체와 불리한 조건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수성구 황금주공과 달서구 송현주공아파트 등 지난해 이전에 사업이 진행된 대단지 재건축 아파트의 정비 수수료는 1만 5천 원~2만 5천 원 수준이었으며 대구보다 재개발이 먼저 시행된 부산시 등 타 도시의 정비 수수료도 대부분이 5만 원 선을 넘지않는 수준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비업체 업무 수수료는 교통영향평가 등 사업 추진에 필요한 각종 용역비와 사업 완료시까지 조합 운영비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정부에서 따로 정한 수수료가 없다."며 "사업 과정에서 정비 업체들의 불필요한 이권 개입을 막기 위해서는 5만~6만 원 정도의 가격이 적정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