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潘基文) 외교장관이 13일 유엔총회에서 차기 유엔사무총장으로서 추인을 받음으로써 내년 1월1일부터 역사적인 '한국인 첫 유엔 사무총장 시대'가 열리게 됐다.
반 장관의 사무총장 선출은 건국 이래 최대의 민족적 경사로, 한국외교사의 쾌거로 기록될 것이다. 반 차기 총장은 아시아인으로서도 미얀마의 우탄트 총장이후 무려 35년만에 유엔 사무총장을 맡게돼 그동안 서방국가들이 중심축을 이뤘던 유엔이란 장에서 아시아의 영역이 더 넓어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도 낳고 있다. 유엔 사무총장이란자리는 '세계의 재상', '세계 최고의 외교관'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국제위상을 높이고 외교적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일각에선 지난 1988년 올림픽 개최가 한국의 경제적 도약을 위한 발판을 제공한사실을 상기시키며 반 차기 총장의 선출은 정치적.외교적으로 한국의 역사적 도약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비교, 전망하기도 한다. 또 막판에 가서야 유력한 후보가 윤곽을 드러냈던 과거 유엔총장 선출사례와는 달리 반 차기 총장은 일찍부터 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의 지지를 받는 등 선두를 달리며 두각을 나타냈다는 점에서 과거 대미의존적 외교에서 탈피, 균형외교로 중심을 잡은 한국외교의 승리로도 꼽히고 있다. 이로써 건국과정 및 한국전쟁 등 굵직한 역사적 전기마다 유엔의 수혜를 받아왔던 한국은 유엔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국가로 탈바꿈, '유엔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라는 평가를 받게 됐다.
또 반 차기 총장은 세계 유일의 분단국 출신이어서 세계인으로부터 세계 평화와안전을 위해 창설된 유엔의 정신을 가장 잘 구현해 나갈 것이라는 소망도 한 몸에 받고 있다.
반 차기 총장 선출의 의미가 이처럼 큰 만큼 반 차기 총장이 추진해야 할 과제 또한 막중하다. 첫번째 도전은 뭐니뭐니해도 북한의 핵실험으로 최대 위기국면에 돌입한 북핵문제라고 할 수 있다.
반 차기 총장은 이미 외교장관으로서 북핵문제를 오랜 기간 다뤄와 북한의 입장과 미국, 중국, 일본 등 관련국들의 정책을 역대 어느 총장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북핵문제의 조정 및 중재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반 차기 총장도 12일 북핵문제를 3가지 최우선 역점과제 중 하나로 꼽은 뒤 "안보리에서 구체적인 조치가 나올 경우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힌 바 있다.
유엔 사무총장이란 자리는 국제사회의 분쟁과 갈등을 중재하고 해결하는 조정자역할이라는 점에서 반 차기 총장이 직면한 문제는 적지 않다. 반 차기총장은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수십년간 지속돼온 중동문제를 비롯해 아프리카와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지정학적 불안과 분쟁을 해결하고 평화정착과 전후복구 사업 등 현안을 관리해야 하며 세계화 등으로 야기된 빈부격차와 인종.종교.지역간 갈등 등을 해소하기 위한 국제협력도 이끌어야 한다.
또 핵.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마약거래.자금세탁 등 범죄활동, 지구온난화 및 만성적인 질병 등 세계평화와 세계인의 행복을 위협하는 요소들에 대한국제적 대응도 주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유엔 창설 당시와 달라진 새로운 국제환경에 맞는 새로운 유엔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유엔 개혁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2차대전 후 냉전체제의 출범과 함께 출범한 유엔은 구소련 및 동구권의 몰락으로 국제사회에 엄청난 변화가 발생했지만 새로운 국제질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난을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들로부터 받아왔다. 구체적으로 유엔 안보리 개편, 유엔 총회의 권한 확대문제, 유엔 사무국의 효율성 제고 등은 반 차기 총장이 피해갈 수 없는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반 차기총장도 이미 "유엔 조직의 효율성 제고와 신뢰성 고양, 방만한 조직의 통합에 유엔개혁의 초점을 맞추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워싱턴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